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체와 매체로서의 한국어 교육

이용수  3

영문명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both Substance and Mediu
발행기관
이중언어학회
저자명
이성은
간행물 정보
『이중언어학』제24호, 195~21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2.29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dual aspect of languages as both substance and medium, and also to find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the fact that contemporary human beings are situated within the boundaries of reality and cyber-reality. This investigation began by inquiring into Vygotsky's ‘self-referential' notion of ‘private speech' and through this will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languages as both substance/medium. This will help us find a direc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is cyber-age and will also help us develop an appropriate pedagogy.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mporary science, traditional Korean thought (for example, the philosophy of Won-Hyo, Sam-Tae-Guk and Yul-Gok) and the dual aspect of languages as both substance and medium will be investigated. It will be concluded that the search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econd language is not one that will merely duplicate the language education theories of the occident, but must be an opportunity to rediscover the potentialities within Korean tradition. Also, it will be stated that the potentialities of the Korean tradition can contribute globally only when it is based on scientific inquiry.

목차

1. 서론
2. ‘자기언급’ 행위와 실체로서의 언어교육
3. 사이버 시대와 매체로서의 언어교육
4. 현대 과학과 한국문화 전통의 은유를 통해 본 실체와 매체의 상보성
5.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은. (2004).체와 매체로서의 한국어 교육. 이중언어학, (), 195-215

MLA

이성은. "체와 매체로서의 한국어 교육." 이중언어학, (2004): 195-2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