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ntrastive Study on Modal Expressions of Korean and Chinese: Especially concerning the '-(으)ㄹ 수 있다' in Korean and '能'in Chinese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엄녀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36호, 299~32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2.29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reviewed the modal expression systems of Korean and Chinese, especially contrasted the modal expression '-(으)ㄹ 수 있다' and '能', which mean 'possibility' and compared their meaning and negative patterns. (1) The representative modal expressions in Korean are the pre-final endings, final endings and periphrastic constructions); the representative grammatical form of modal expressions in Chinese are the modal auxiliary verbs and modal particles. (2) The meanings of Chinese modal auxiliary verb could be interpreted as the periphrastic construction modal expressions in Korean. The meanings of Korean modal endings hardly correspond to Chinese modal expressions. On the contrary, it is difficult to present the domain of Chinese modal particles with simple grammatical patterns in Korean. (3) In Korean, '-(으)ㄹ 수 있다' indicates [capability], [permission] or [sporadic] of the subject in the obligatory modality and supposition of cognitive modality, while '能' does not imply the supposition of epistemic modality and sporadic of obligatory modality, but it implies [be good at] which '-(으)ㄹ 수 있다' can not. (4) '-(으)ㄹ 수 있다' has its negative form '-ㄹ 수 없다', however, when it implies the supposition of epistemic modality and sporadic of deonic modality, the negative form could not be actualized. The negative forms of '能' are '不能, 不能不, 能不’ etc. Among them, the double negative form of '不能不' makes affirmative, and '能不' is used in interrogative sentences, it is close to the character of rhetorical affirmative sentences.
목차
1. 서론
2. 양태의 유형
3. 한․중 양태 표현의 개관
4. ‘-(으)ㄹ 수 있다’와 ‘能’의 문법적 특성에 관한 대조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oward Comprehensibility: How Korean ESL Children Learn and Communicate in the Sheltered Content Classroom
- of Korean Language Learners
- ‘-기’ 결합형 표현항목 설정
- 한․중 양태 표현의 대조적 고찰
- Linguistic Capital and Code-switching: Korean Bilingual Students' Appreciation of Heritage Language Learning
- 한국어 문학 교수요목 설계를 위한 요구 분석
- 구성원소 이론을 통한 한국어와 일본어의 모음 현상 비교 연구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주격조사 오류 연구
-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연구 논문 서론의 장르 분석 연구
- 암시적 피드백과 명시적 피드백이 조사 오류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교사 교육 연구
- 한국어와 일본어의 색채어 형성 대비 연구
- 한국어 접속어미 ‘-면’ 구문과 중국어의 해당 구문 대조 연구
- 한국어 교재 대화 구성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의 대조언어학과 보편문법의 필요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Verum Beyond Focus: Comparing VP-Preposing in Korean and English
- A Presuppositional Approach to Binding in Korean, with the Focus on Locally Bound Caki
- Bound Noun man + Light Verb ha in Korea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