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ociolinguistic Study on Constructing of Conversation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cused on the Organization of Telephone Conversation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방혜숙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36호, 167~207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2.29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elephone conversations that appear in 10 Korean language textbooks. Telephone conversations are a routine and indispensable part of daily communication among people. The telephone conversations in the 10 Korean language textbooks can be classified into topics, scenes, places, times, levels, numbers of agents, the relationships between callers and receivers, genders, and, turn-takings.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of the various telephone conversations that appear in the textbooks and in real life, a survey of the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e foreign students who are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re conducted. The survey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it collects personal information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foreign students. Second, it investigates questions related to the respondents' usage of telephone. Finally, it examines topics in telephone conversations and the usage of expressions in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stages of telephone conversations using the DCT (Discourse Completion Test).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carefully discussed, compared, and analyzed with reference to the telephone conversation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further improvement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s well as the colloquial content of the telephone conversation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및 분류 기준 정립
3. 교재에 나타난 전화 대화 양상 및 분류
4. 설문 조사 분석
5. 비교 분석 및 적용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oward Comprehensibility: How Korean ESL Children Learn and Communicate in the Sheltered Content Classroom
- of Korean Language Learners
- ‘-기’ 결합형 표현항목 설정
- 한․중 양태 표현의 대조적 고찰
- Linguistic Capital and Code-switching: Korean Bilingual Students' Appreciation of Heritage Language Learning
- 한국어 문학 교수요목 설계를 위한 요구 분석
- 구성원소 이론을 통한 한국어와 일본어의 모음 현상 비교 연구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주격조사 오류 연구
-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연구 논문 서론의 장르 분석 연구
- 암시적 피드백과 명시적 피드백이 조사 오류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교사 교육 연구
- 한국어와 일본어의 색채어 형성 대비 연구
- 한국어 접속어미 ‘-면’ 구문과 중국어의 해당 구문 대조 연구
- 한국어 교재 대화 구성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의 대조언어학과 보편문법의 필요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Verum Beyond Focus: Comparing VP-Preposing in Korean and English
- A Presuppositional Approach to Binding in Korean, with the Focus on Locally Bound Caki
- Bound Noun man + Light Verb ha in Korea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