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Genre-Analytic Study of Korean Research Article Introductions with a Focus on Content Analysi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김영규 이은하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36호, 43~6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2.29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50 research article (RA) introductions written by one group of graduate students (n=25) (GA) with explicit genre awareness training and the other group (n=25) (NGA) with no such training. A preliminary analytical framework, based on Swales’ (1990) CARS model and Park’s (2006) K-CARS model, was developed and appl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introductions by both GA and NGA groups showed the rhetorical structure of moves and steps identified in Swales’ (1990) CARS model and Park’s (2006) K-CARS model. There were, however, some steps that could not be explained by the K-CARS model.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preliminary analysis were incorporated and a revised K-CARS model was proposed to analyze RA introductions in the field of Korean as a Second/Foreign Language. Second, the GA showed a predominantly large number of introductions with research questions and research methods over the NGA.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evidence that the GA was aware of the role and function of these steps in RA introductions commonly accepted in the field of Educational Psychology. This latter finding suggests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teaching academic Korean writing to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s it is expected that they could benefit from explicit genre awareness training when they are preparing for college and graduate school education in Korean.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및 논의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oward Comprehensibility: How Korean ESL Children Learn and Communicate in the Sheltered Content Classroom
- of Korean Language Learners
- ‘-기’ 결합형 표현항목 설정
- 한․중 양태 표현의 대조적 고찰
- Linguistic Capital and Code-switching: Korean Bilingual Students' Appreciation of Heritage Language Learning
- 한국어 문학 교수요목 설계를 위한 요구 분석
- 구성원소 이론을 통한 한국어와 일본어의 모음 현상 비교 연구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주격조사 오류 연구
-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연구 논문 서론의 장르 분석 연구
- 암시적 피드백과 명시적 피드백이 조사 오류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교사 교육 연구
- 한국어와 일본어의 색채어 형성 대비 연구
- 한국어 접속어미 ‘-면’ 구문과 중국어의 해당 구문 대조 연구
- 한국어 교재 대화 구성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의 대조언어학과 보편문법의 필요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Verum Beyond Focus: Comparing VP-Preposing in Korean and English
- A Presuppositional Approach to Binding in Korean, with the Focus on Locally Bound Caki
- Bound Noun man + Light Verb ha in Korea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