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말하기 과제의 상호작용적 실제성 연구
이용수 30
- 영문명
- Interactive Authenticity of Korean Speaking Task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김지영 강현주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52호, 19~4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interactive authenticity of speaking tasks presented in intermediate Korean textbooks, and to suggest ways to enhance the interactive authenticity. As the core principles of the Korean education,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task-based language teaching, and learner-centered language teaching are emphasized, and it results that material developers have made great effort to include the authentic materials which reflect the real-world situations.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ability of task performance, the experience of classroom task performance should transfer to a real-world situation, thus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authentic process of task performance as well as authentic task itself.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termed ‘interactive authenticity’ to refer this authentic process of task performance, and it is specified as follow: i) topic development, ii) turn-taking, iii) response utterance, iv) attitude and gesture. Among these, interactive authenticity of intermediate Korean materials is analyzed based on the framework of topic introduction, topic transition, and topic deepening. As a result, all materials analyzed in this study have devices to teach topic development. Especially expressions and devices to present the way to deepen given topic abound, but topic introduction, which helps to start discourse, and topic transfer, which extend discourse moving to other topic within given theme, are shown relatively small percentage. This study also gives actual example of topic development presented in analyzed intermediate Korean materials. Based on this, more effective ways to lead students to develop a seamless interaction. This study highlights on the need of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interactive authenticity when developing speaking tasks and teaching speaking tasks.
목차
1. 서론
2. 상호작용적 실제성
3. 한국어 교재의 말하기 과제에 나타난 상호작용적 실제성
4. 상호작용적 실제성을 높이기 위한 과제 구성 및 과제 수행 방안
5.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고전소설의 한영 번역 연구
- 한국어 학습자들의 내용 지식과 글쓰기 성취와의 관계
- 재외 한글학교 교사 사이버연수 과정의 현황과 과제
- 계승어 사용자로서의 재미동포 미취학 아동을 위한 한글학교 유아반 교실 운영 방안
- 한국어 읽기 텍스트 난이도 판별분석
- 동사연결 구성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성 인식 연구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격조사 처리 연구
-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숙달도와 동기에 대한 분석
- Korean Immigrant Youth’s Individual Trilingualism within the English-French Bilingual Framework of Canada
-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능력은 숙련되고 있는가?
- 외국인 유학생의 논증 텍스트에 나타난 응집성 실현 양상 연구
- 한국 문화 교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한국어 학습자로서의 농인과 외국인의 한국어 오류 분석
- 한국어 교원 연수 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및 제언
- Transnational Asian College Students: Bilingualism, Biculturalism, and Identity
- 한국어 말하기 과제의 상호작용적 실제성 연구
- 구어 담화에서의 한국어 학습자 요청 화행 실현 양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