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erimental Study on Korean Pitch Patterns of the First Syllable in an Accentual Phrase: A Case Study of Korean Heritage Teenage Learners in the United State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탁은선 이선우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54호, 343~37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Korean pitch patterns of the first syllable in an Accentual Phrase. Four native Korean teenagers (male:2, female;2), five heritage Korean teenage learners who were born in the Korea and im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male: 3, female:2), and seven heritage Korean teenage learners who were born in the United States (male: 3, female: 4) participated in the study. Fifteen short declarative Korean sentences, which have same nucleus and coda structure ([ar]) in the first syllable, were used. All fifteen sentences have a different consonant as an onset of their first syllable. F0 was measured at the time point where the 50% of the vowel [a]'s total duration was located. We found that male heritage Korean teenage learners who were born in the United States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pitch patterns of the first syllable in an AP when a sentence starts with fricative [s, s', h], lenis [p, t, k, tʃ], fortis [p', k'], and aspirated [tʰ] from the native Korean male teenagers. On the other hand male heritage Koran teenage learners who were born in the Korea and im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in their early age have no significantly different pitch patterns of the first syllable in an AP from the native Korean male teenagers. In the case of the female heritage Korean teenage learners, both groups have relatively similar pitch patterns of the first syllable in an AP with the native Korean female teenagers. This study’s finding indicates that the heritage Korean teenage learners have different pitch patterns of the first syllable in an Accentual Phrase from the native Korean teenagers according to learners’ gender and a country where they were born.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실험의 방법 및 절차
4. 실험 결과
5.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인 KFL 학습자의 파열음 발음 연구
- 문제은행 기반 한국어 숙달도 평가를 위한 메타데이터 선정 연구
- ‘선행 연구 기술’의 주요 기능에 대한 연구
- 개인차, 피드백 유형 및 규칙 복잡성 간의 상호작용이 한국어 학습자의 제2언어습득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상호적 내러티브 구성에서 드러나는 결혼이주여성의 서사적 정체성 연구
- 한국어 교육용 시사 한자에 관한 기초 연구
- K-pop 노랫말 코드전환의 기저언어 설정
- 재미동포 한국어 학습자 정체성 구성 요인과 계승어 교육
-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 개발의 성과 및 과제
-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학습 도구로서의 쓰기 과제 연구
- 한국어 숙달도 평가의 문제은행 도입을 위한 문항 일반 정보 구축 방안 연구
- 미주 지역 재외동포 청소년들의 한국어 억양 연구
- 이창래의 ‘네이티브 스피커’ 분석에 나타난 언어와 정체성의 결속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Verum Beyond Focus: Comparing VP-Preposing in Korean and English
- A Presuppositional Approach to Binding in Korean, with the Focus on Locally Bound Caki
- Bound Noun man + Light Verb ha in Korea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