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n the Primary Function of ‘Previous Research Use’: Objective of Education KAP Writing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이윤진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54호, 239~27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primary function of ‘previous research use’ within Korean academic texts, to utilize as the fundamental reference material for guiding academic-purpose writing. Academic writing is a writing with a broadened definition of ‘source use’ as a prerequisite. Moreover, ‘previous research’ is the source applied by the writer of the academic text from the onset to the end-point to construct a more abundant and solid argument. Although interest toward the education of academic writing for international students undergoing the master’s and doctorate program has increased, the discussion of a constructive guidance concerning the ‘previous research use’ remains inadequate. This study confirmed the necessity to first review concepts and values of previous data and concentrate on the non-fixed characteristic of previous research placement within an academic text through existing research outcomes. Furthermore, the contemplation of the primary function of previous research use became imperative alik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technical strategies involved in the academic writing process. The examined six primary functions of previous research use within this study were ‘identification of primary(key) results’, ‘problem proposal and emphasis on the necessity of research’, ‘categorization of results and comprehension of direction’, ‘the re-application of methodology and subjectivity’, ‘the review(examination) of principal concepts perspective analysis’, and ‘the evidence provision and result analysis’. Since this study examines each function with its basis on actual examples of academic texts, the enclosed data will be able to usefully applied during the guidance of academic writing. Results from previous research is inarguably an important data to permit the academic text to be more academic. However, it is not advisable to rely entirely on previous research and the writer of scholarly text should be aware of how to apply strategically and effectively, the previous research to one’s writing, in accordance with one’s research objective and characteristic. This implies research, seeking a more constructive content and strategies on ‘previous research use’ in regards to the academic writing guidance, must also be pursued.
목차
1. 서론
2. 연구의 배경
3. 선행 연구 기술의 주요 기능
4. 학문 목적 쓰기 지도에의 적용
5.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인 KFL 학습자의 파열음 발음 연구
- 문제은행 기반 한국어 숙달도 평가를 위한 메타데이터 선정 연구
- ‘선행 연구 기술’의 주요 기능에 대한 연구
- 개인차, 피드백 유형 및 규칙 복잡성 간의 상호작용이 한국어 학습자의 제2언어습득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상호적 내러티브 구성에서 드러나는 결혼이주여성의 서사적 정체성 연구
- 한국어 교육용 시사 한자에 관한 기초 연구
- K-pop 노랫말 코드전환의 기저언어 설정
- 재미동포 한국어 학습자 정체성 구성 요인과 계승어 교육
-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 개발의 성과 및 과제
-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학습 도구로서의 쓰기 과제 연구
- 한국어 숙달도 평가의 문제은행 도입을 위한 문항 일반 정보 구축 방안 연구
- 미주 지역 재외동포 청소년들의 한국어 억양 연구
- 이창래의 ‘네이티브 스피커’ 분석에 나타난 언어와 정체성의 결속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Verum Beyond Focus: Comparing VP-Preposing in Korean and English
- A Presuppositional Approach to Binding in Korean, with the Focus on Locally Bound Caki
- Bound Noun man + Light Verb ha in Korea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