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attern Generalization Problem Solving Strategies and Explanation Methods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이용수 18
- 영문명
- Pattern Generalization Problem Solving Strategies and Explanation Methods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박은정(Eunjeung Park) 송상헌(Sanghun Song)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3권 4호, 1065~108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roblem solving strategies and solution explanations for solving pattern generalization problems by ability groups among gifted mathematics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in Korea. In the process of generalizing the algebraic-geometric problem of the least numbers of moved stones from triangular arrays to inverted triangular arrays, several types of problem-solving strategies are identified as (1) recursive relation (2) functional relations(guesswork-based, singular, compound) (3) perception of situational structure can make the difference in finding general formulas. Many students try to generalize from numerical patterns in recursive or singular functional relations but some gifted students go beyond numerical patterns and generalize based on situational structures. Having grasped the geometric situation one of our best students outlines th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a generic example. We found that Korean gifted students' pattern recognition strategies in situational structures and their ability to generalize high-level mathematical knowledge determined their problem solving success.
목차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III. METHODS
IV. RESULTS
V. DISCUSSION AND CONCLUSION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attern Generalization Problem Solving Strategies and Explanation Methods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 단위 조정 수준의 변화에 따른 분수 곱셈 연산자 개념 이해
- 싱가포르 중학교 수학교과서에서의 빅 아이디어 접근 구현 사례 연구
-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적 추론 양상 탐색
- Discussion on Microteaching in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 학교수학에서 무리수 도입으로 인한 담론 변화 분석
- 초등학교에서 표현의 해석에 중점을 둔 약수와 배수의 교육
- 표본 결과의 범위에 대한 중학생의 추론
- 초등학교 수학 교과의 원격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수학적 주목하기
- 수학교육의 교수학적 실천과 연구 측면에서 AI 언어 모델 활용 방안 탐색
- 수학교육학연구 제33권 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