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scussion on Microteaching in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권나영(Na Young Kwon) 박주경(Jukyung Park) 여승현(Sheunghyun Yeo) 김진호(Jinho Kim)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3권 4호, 1083~110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to scrutinize the landscape of microteaching-related research with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in South Korea.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searching for keywords such as microteaching, teaching demonstrations, and simulated rehearsal on RISS until July 2023. The final research data consisted of 28 empirical studies, including only those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or data analysis, the study delved into the purposes of microteaching, the specific grade levels being targeted, and the diverse methodologies employed in microteaching. The findings illuminated that a predominant focus of the studies was on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with microteaching being implemented primarily for the purpose of observing teaching behaviors.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prevailed, with a notable prevalence of studies utilizing video recordings to encapsulate the intricacies of the teaching process. Furthermore, it was a customary practice to facilitate peer feedback sessions following the teaching sessions. Finally, a comprehensive discourse was engaged to elucidate the underlying rationales driving the observed trends in these findings.
목차
I. INTRODUCTION
II. BACKGROUND
III. METHODS
IV. RESULTS
V. DISCUSSION AND CONCLUSION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attern Generalization Problem Solving Strategies and Explanation Methods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 단위 조정 수준의 변화에 따른 분수 곱셈 연산자 개념 이해
- 싱가포르 중학교 수학교과서에서의 빅 아이디어 접근 구현 사례 연구
-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적 추론 양상 탐색
- Discussion on Microteaching in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 학교수학에서 무리수 도입으로 인한 담론 변화 분석
- 초등학교에서 표현의 해석에 중점을 둔 약수와 배수의 교육
- 표본 결과의 범위에 대한 중학생의 추론
- 초등학교 수학 교과의 원격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수학적 주목하기
- 수학교육의 교수학적 실천과 연구 측면에서 AI 언어 모델 활용 방안 탐색
- 수학교육학연구 제33권 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 Study on Ren Bishi’s Thought on the Work of the Youth League
- An Analysis of India’s Arctic Strategy from the Perspective of Indian Think Tanks
- Family Matters at Work: The Impact of Marital and Caregiving Roles on Employee Wellbeing Across Age Group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