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Universal Design Beauty Salon Space Using 3D Modeling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이가영 김정원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제24권 제2호, 29~3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2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a modern society, a concept of universal design, which insists ‘Let people enjoy a safe and equal life without any discrimination!’ has gradually expanded.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time to improve a beauty salon space by applying the universal design (‘Design for All People’, not for a specific group of people only). This study attempted to improve people’s understanding of beauty salon universal design by using 3D beauty salon universal design guidelines which can be used by people from diverse social classes in a safe and equal fashion. For this, based on the beauty salon universal design guidelines developed by the author (zoning, details, laws, recommendations), the space was divided into treatment, shampooing, waiting and counter zones and entrance. The specific universal design was sketched from November 10 to 15, 2022. Using Sketch-Up Pro 2022, Lumion, it was 3D-modeled and rendered, forming each space with universal design. The above results helped beauty service workers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universal design and suggested a way to utilize in practice.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be available as basic data in improving diverse perceptions by granting beauty salon customers an equal right and perception of safety and making beauty service workers aware of human rights and diversity. Furthermore, it might be easy and convenient for people from diverse social classes to visit a beauty salon provided that the government supports the application of university desig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4권 제2호 목차
- 에듀테크 기반 미용교육의 필요성 모색
- 중장년층의 노후준비가 미용실 선택속성과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뷰티 서비스전문가의 자기관리 측정도구 개발
- 두피 타입에 따른 맞춤형샴푸 인식 및 사용실태 조사
- 뷰티종사자의 직업전문성이 진정성과 매력성에 미치는 영향
- 반영구 화장 행동특성이 재이용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팬톤(Pantone) 컬러트렌드와 질감 테크닉을 활용한 헤어 커트 디자인 연구
- 헤어미용사의 커뮤니케이션능력이 고객만족과 관계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 Rasch 모형을 이용한 헤어미용전문가의 인적서비스품질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직장 여성의 메이크업 컬러선택동기와 대인관계성향에서 외모만족도의 매개효과
- 아트헤어의 다각적 표현을 위한 엑소노메트릭 연구
- 길이의 변화 특성을 응용한 남성헤어스타일 작품제작
- 중장년층 남녀의 성공적 노화가 헤어서비스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미용과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 3D 모델링을 활용한 유니버설 디자인 미용실 공간 구현 연구
- 장애인에 대한 미용서비스 품질과 고객 만족에 관한 연구
- 속눈썹미용 전문가의 인적서비스품질이 지불의사 및 전환비용과의 관계
- 팬데믹 상황에서 숲의 이용이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
- 대학의 뷰티 전공 교육서비스품질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꽃의 이미지를 활용한 업스타일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