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lications on Necessity of Edu-Tech Beauty Education: Focusing on beauty studies published from 2011 to 2022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안정민 권기한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제24권 제2호, 17~2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2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in edu-tech and high-tech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related words and derive implications on the necessity of beauty education studies. This study collected literature data published from 2011 to 2022. Among them, a total of 31 papers were chosen for final analysis to set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those in need of digital education in a changing era according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tarting with two theses first issued in 2011, high-tech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related beauty papers have been examined so far. In terms of a research topic, the beauty industry was the highest with 13 articles (41.94%), followed by makeup/hairstyling/beauty education (5 papers, 16.13%), aesthetics (2 papers, 6.45%) and nail care (1 paper, 3.22%). When compared to the beauty industry, there needed to be more studies on beauty education.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demand for change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talent development. In terms of keyword trends, ‘augmented reality (AR)’ was the highest with 51.61%, followed by ‘virtual reality (29.03%)’, ‘3D and machine learning (6.45%)’ and ‘smart learning & metaverse (3.23%)’. In terms of a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highest with 13 papers (41.94%), followed by ‘literature review (8 papers, 25.8%)’, ‘other studies (5 papers, 16.13%)’, ‘mixed research (4 papers, 12.9%)’ and ‘qualitative research (1 paper, 3.23%)’. In other words, there is a necessity to perform research with multiple view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requested creative convergence talent across the whole process from manufacture to distribution and customer services. Under these circumstances, developing talent that meets such needs in education is also required.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 in domestic beauty education with diverse research topics and through diversification of study subjects and expansion of data collection methods for in-depth approa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4권 제2호 목차
- 에듀테크 기반 미용교육의 필요성 모색
- 중장년층의 노후준비가 미용실 선택속성과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뷰티 서비스전문가의 자기관리 측정도구 개발
- 두피 타입에 따른 맞춤형샴푸 인식 및 사용실태 조사
- 뷰티종사자의 직업전문성이 진정성과 매력성에 미치는 영향
- 반영구 화장 행동특성이 재이용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팬톤(Pantone) 컬러트렌드와 질감 테크닉을 활용한 헤어 커트 디자인 연구
- 헤어미용사의 커뮤니케이션능력이 고객만족과 관계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 Rasch 모형을 이용한 헤어미용전문가의 인적서비스품질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직장 여성의 메이크업 컬러선택동기와 대인관계성향에서 외모만족도의 매개효과
- 아트헤어의 다각적 표현을 위한 엑소노메트릭 연구
- 길이의 변화 특성을 응용한 남성헤어스타일 작품제작
- 중장년층 남녀의 성공적 노화가 헤어서비스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미용과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 3D 모델링을 활용한 유니버설 디자인 미용실 공간 구현 연구
- 장애인에 대한 미용서비스 품질과 고객 만족에 관한 연구
- 속눈썹미용 전문가의 인적서비스품질이 지불의사 및 전환비용과의 관계
- 팬데믹 상황에서 숲의 이용이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
- 대학의 뷰티 전공 교육서비스품질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꽃의 이미지를 활용한 업스타일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