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일 한국어 교재의 문법 실러버스 비교 분석
이용수 17
- 영문명
- Comparison and analysis of grammar syllabi from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Japa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하세가와유키코 이수경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13권 2호, 247~27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We, the lecturers teaching Korean language in Japan, often use or refer to textbooks developed in either Korea or Japan, but a number of problems have been found in those textbooks. Therefore, we decid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grammar syllabi from those textbooks in order to know what problems and tendencies the textbooks have, depending on the country of their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overall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as we expected, the following tendencies are prominent, though the two types of textbooks (those developed in Korea and those developed in Japan) are based on absolute Korean grammar: (1) The textbooks developed and published in Korea: They show consideration to introduce Korean as a communication tool to meet urgent needs of learners who live in Korea. (2) The textbooks developed and published in Japan: 1) They intend to improve the efficiency by taking advantage of the similarity to Japanese language. 2) They try to draw attention to the difference from Japanese language. 3) After comparing with Japanese language in terms of their structural difference and similarity, they try to meet the expectations of learners what they want to learn. 4) In order to attain the goal of helping learners understand Korean language in a certain time frame, it aims at a highly organized system. As the above findings show, there can arise a number of problems and dissatisfaction when textbooks developed in Korea are used to teach Korean language in Japan. In addition, after investigating more details in grammar syllabi developed in Korea, various and serious problems have been found. We hop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mproving Korean textbooks in the future.
목차
1. 머리말
2. 분석 대상 교재
3. 비교 분석 방법
4. 한일 교재의 실러버스 비교 분석
5. 맺음말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육에서의 [원인] 연결어미에 대하여
- 재외동포 아동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회화 교재의 구성원리 및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표현항목’ 설정에 대한 연구
- 한일 한국어 교재의 문법 실러버스 비교 분석
- 해외 한국어 교사 재연수 프로그램에 대한요구 분석 논의
- 한국어 대화의 교수모형
- 몽골어와 한국어의 단모음 비교
-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 어미 오류 양상에 관한 연구
- 한국어 평가담화의 특징
-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특징 연구
- 학습자 자율성에 기초한 한국어 어휘 교육 사례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정보: {언제}
- 중국 대학교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교수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