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육에서의 [원인] 연결어미에 대하여
이용수 53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ason] Connectives for the International Korean Educatio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안주호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13권 2호, 159~18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how the [Reason] connectives and connective phrases can be taugh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ead of treating ungrammatical sentences as ‘errors’ but taking them as ‘interlanguage’ arising from the grammaticalization process of the learner while learning the target language. The teaching methods of [Reason] connectives discussed in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analysing the frequency in colloquial usage of connectives, they are presented in the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Since in spoken language they are in the order of -ese > -unikka > -uni > -killay / -nulako, it is desirable to suggest connectives in this order. Second, connectives used in spoken language and in written should be taught separately. Third, the connectives with the least possible restrictions in usage and those that carry primary meaning without having other minor meanings should be presented first, followed by those with increasing restrictions. Fourth, the connective phrases with a variety of meanings should also be presented in the order the level.
목차
1. 머리말
2. 오류분석과 중간언어 이론
3.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원인] 연결어미
4. [원인]의 연결어미 제시 방법
5. 맺음말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육에서의 [원인] 연결어미에 대하여
- 재외동포 아동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회화 교재의 구성원리 및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표현항목’ 설정에 대한 연구
- 한일 한국어 교재의 문법 실러버스 비교 분석
- 해외 한국어 교사 재연수 프로그램에 대한요구 분석 논의
- 한국어 대화의 교수모형
- 몽골어와 한국어의 단모음 비교
-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 어미 오류 양상에 관한 연구
- 한국어 평가담화의 특징
-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특징 연구
- 학습자 자율성에 기초한 한국어 어휘 교육 사례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정보: {언제}
- 중국 대학교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교수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