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의 자음 체계 습득 과정

이용수  18

영문명
The acquisition process of consonants in early childhood: Focusing on segmental correspondences between the child and adult languages
발행기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안미리 김태경
간행물 정보
『한국어교육』14권 2호, 169~204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09.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order and the age of mastery of phonemic contrast in consonantal sounds of Korean. For this purpose, we made an observation of the correspondences between the sounds produced by children of 12-36 months and the target sounds produced by adults. The provisional order and the age of contrast acquisition show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differential production of consonants by the place of articulation is accomplished before 18 month. 2) As for the differential production of consonants by the manner of articulation, the contrast between the nasal and oral sounds is first established in the age of 24-30 months, and the contrast between the stop and the affricate is not accomplished until 36 months. The liquid and the fricative are not produced or rarely produced before 36 months. 3) As for the differential production of consonants by phonation type, the contrast between the tense and the non-tense is established in the 30-36 months, and subsequently the contrast between the plain and the aspirated is established around the age of 36 months.

목차

1. 서론
2. 음소 대립의 분화와 분절음 대치 현상
3. 자음의 변별적 산출 능력의 발달 과정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미리,김태경. (2003).유아의 자음 체계 습득 과정. 한국어교육, 14 (2), 169-204

MLA

안미리,김태경. "유아의 자음 체계 습득 과정." 한국어교육, 14.2(2003): 169-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