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Grammar Teaching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the Latter Part of 19th Century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건숙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17권 1호, 163~19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4.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Entering the 19th century, Korean language textbooks had been written by western missionaries and foreign diplomats. So Korean language textbooks introduced unfamiliar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into Korean language learners. But at the times, because the study of Korean grammar was going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described Korean grammar in the frame of Western grammar. By these reasons, Korean grammar was misunderstood in several points, for instance, it was classified not only Josa (Korean particle) as an affix or a postposition but also an adjective as a modifier. But Korean language textbooks described politeness expressions and auxiliary verbs in detail. Especially, they described Korean honorific expressions importantly in Korean grammar, because they showed the distinction between Korean grammar and Western grammar. It was possible for this analysis to know how foreign learners understood and learnt Korean grammar. Moreover, it was possible for this analysis to know the effective method of teaching Korean grammar.
목차
1. 연구 개요
2. 품사 설정
3. 개별 문법 범주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의 내용 연구
- 한국어 교육 교재의 평가 기준 연구
- 시간의 연결어미 ‘-아/어서’의 통사론적 특성을 이용한 지도 방안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에서 나타나는 어휘 오류
- 초급 학습자를 위한 웹 기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연구
- 중・한 문화차이의 번역에 관한 소고
- 프로젝트 수업의 구성 방안 연구
- 어휘적 접근법을 통한 한국어 교육 방안
- 한국어능력시험의 난이도 분석 연구
- 한국어 호칭어 교육 방안 연구
- 한국어 교재의 문법 교육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 진단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실제적인 대화 자료 작성에 관한 연구
- 한국어 능력 평가 체계의 현황과 과제
- TV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자료 개발의 실제
- 어휘 의미를 활용한 유의적 문형 교수 방안
-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담화 능력 배양을 위한 담화 정보 활용
- 특수목적외국어교육의 연구주제들
- 한국어 학위논문 서론의 장르분석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