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제투자중재절차에서 반대청구에 관한 연구
이용수 18
- 영문명
- Counterclaims under International Investment Arbitr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제상학회
- 저자명
- 이재우
- 간행물 정보
- 『국제상학』第38卷 第1號, 69~8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재판정부가 분쟁에 대한 관할권을 갖기 위해서는 당해 분쟁을 중재에 의하여 해결하기로 하는 당사자 간의 합의 즉, 중재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한편 중재를 제기당한 당사자는 자신이 입은 손해를 근거로 반대청구를 제기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도 중재판정부가 관할권을 갖기 위해서는 그러한 청구가 중재합의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어야 한다. 거래 당사자 간의 상사적 분쟁을 다루는 상사중재와 달리 투자협정에 근거하는 투자중재에서는 다음의 두가지 점에서 일정한 제한이 따른다. 첫째, 대부분의 투자협정이 청구의 주체를 투자자로 한정함으로써 피신청국(투자유치국)이 반대청구를 제기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둘째, 일반적으로 투자협정은 체약국의 의무를 규정할 뿐, 투자자의 의무에 대해서는 달리 규정하지 않으므로 투자유치국이 무엇을 근거로 반대청구 할 수 있는가 하는 청구허용성의 문제가 있다. 그럼에도 투자중재의 맥락에서 반대청구는 투자유치국의 규제권한을 확보하고, 절차적 권리를 보장한다는 의미가 있으므로 투자협정 내에 이에 관한 명문의 근거규정을 둠으로써 반대청구에 관한 다툼과 논란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nalyzes counterclaims arising in the course of international arbitration proceedings, especially investor-state arbitra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paper mainly relies on arbitration awards based on investment treaties to reveal how counterclaims have been dealt with in the investment arbitration context.
Results: Although counterclaims are well known in international arbitral proceedings, they raise special issues when it comes to investment arbitration, especially when they are based on treaties that recognize only rights, and not obligations, of private parties.
Conclusions: A counterclaim may be a way of rebalancing investment law by allowing states to file claims against investors. However, certain conditions that must be fulfilled are not easily combined with the special features of investment arbitration. Future investment treaties should provide explicit provisions for the obligations of investors based on which contracting states may bring counterclaims. This could be a way of addressing the drawbacks that have been recently formulated against investment arbitration.
목차
Ⅰ. 서 론
Ⅱ. 투자중재에서 반대청구에 관한
Ⅲ. 근거규범반대청구에 대한 중재합의
Ⅳ. 청구허용성의 문제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OVID 19에 따른 재택근무에 대한 인식 차이
- 우리나라 무역사기 사례 분석에 관한 연구
- 자유무역협정상 물품무역의 수입국 조치와 관련된 투자협정중재에 관한 고찰
- 통합물류 서비스 품질이 중국 소비자 고객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의류 수출제조업체의 친환경 네트워킹 기술이 Green SCM 효율성 및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
- 국제투자중재절차에서 반대청구에 관한 연구
- 한국의 대(對)인도네시아 수출경쟁력 분석 및 한·인도네시아 CEPA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항만물동량 영향 분석
- 한국 주요 수출 상품의 대 호주 및 뉴질랜드에 대한 불변시장점유율(CMS) 분석
- 국제상사중재상 택일조항과 기판력원칙의 적용에 관한 고찰
- 중재조항의 물적 관할 제한과 관련된 포괄적 보호 조항 및 최혜국대우조항 적용에 관한 연구
- 통상피해와 무역조정지원(TAA) 제도 연구
- FTA 확대에 따른 원산지확인서 발급 실태 및 개선방안
- EU 탄소국경조정제도의 한국 수출 및 GVC 영향 분석
- 수입물품에 대한 한중FTA와 APTA 원산지규정의 적용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NEW
- K-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가 매장이용태도,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화장품성분 고려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평일전환에 따른 영세소매업 폐점률 영향 분석
- The Influence of Passenger and Destination Characteristics on Attitudes Toward Logistics-Based Advertising : Exploring Moderating and Mediating Variabl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