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입물품에 대한 한중FTA와 APTA 원산지규정의 적용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4
- 영문명
- Application of the Rules of Origin on Imported Goods under the Korea-China FTA and the APTA
- 발행기관
- 한국국제상학회
- 저자명
- 윤성민
- 간행물 정보
- 『국제상학』第38卷 第1號, 49~6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제무역시스템의 대표적인 특징인 특혜 무역협정은 현재 그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국도 거대경제권을 포함해 59개국과 21건의 FTA, APTA, RCEP 등 동시다발적으로 경제 블록화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그중에서, 한중 양국는 APTA, 한중 FTA, RCEP 등 복수의 특혜무역 협정이 발효 중이다. 하지만, 실무에서 APTA를 FTA의 일종으로 오해하고 FTA 원산지증명서로 APTA 협정세율을 적용하거나, APTA 원산지증명서로 FTA 협정세율을 적용하는 등 특혜관세 혜택을 제대로 적용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두 협정은 유사하지만 별개의 협정으로 원산지기준, 양허품목, 검증 절차 등 차이가 존재하므로 어떤 협정이 당사자에게 더 유리한지 비교하여 선택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입물품에 대한 FTA와 APTA 협정에서 적용하고 있는 원산지규정 및 이행절차적 차이점을 비교분석하고 수출입기업이 특혜관세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rules of origin for the Korea-China FTA and the APTA, which are in effect between Korea and China, and are often mistaken for the same agreem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paper uses comparative legal methods and case analysis focusing on the Korea-China FTA and APTA origin regulations.
Result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tariff reduction method, target items, country-oforigin standards, and follow-up applications to the tariffs under the Korea-China FTA and APTA.
Conclusions: The Korea-China FTA and APTA are similar,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so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choose which agreement is more advantageous when applying tariffs on imported good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배경과 선행연구
Ⅲ. 한중 FTA와 APTA상 협정관세의 적용
Ⅳ. 협정관세의 실무적용상 시사점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OVID 19에 따른 재택근무에 대한 인식 차이
- 우리나라 무역사기 사례 분석에 관한 연구
- 자유무역협정상 물품무역의 수입국 조치와 관련된 투자협정중재에 관한 고찰
- 통합물류 서비스 품질이 중국 소비자 고객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의류 수출제조업체의 친환경 네트워킹 기술이 Green SCM 효율성 및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
- 국제투자중재절차에서 반대청구에 관한 연구
- 한국의 대(對)인도네시아 수출경쟁력 분석 및 한·인도네시아 CEPA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항만물동량 영향 분석
- 한국 주요 수출 상품의 대 호주 및 뉴질랜드에 대한 불변시장점유율(CMS) 분석
- 국제상사중재상 택일조항과 기판력원칙의 적용에 관한 고찰
- 중재조항의 물적 관할 제한과 관련된 포괄적 보호 조항 및 최혜국대우조항 적용에 관한 연구
- 통상피해와 무역조정지원(TAA) 제도 연구
- FTA 확대에 따른 원산지확인서 발급 실태 및 개선방안
- EU 탄소국경조정제도의 한국 수출 및 GVC 영향 분석
- 수입물품에 대한 한중FTA와 APTA 원산지규정의 적용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NEW
- K-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가 매장이용태도,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화장품성분 고려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평일전환에 따른 영세소매업 폐점률 영향 분석
- The Influence of Passenger and Destination Characteristics on Attitudes Toward Logistics-Based Advertising : Exploring Moderating and Mediating Variabl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