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항만물동량 영향 분석
이용수 155
- 영문명
- The Impact of USA-China Trade War on Seaborne Trade Volume
- 발행기관
- 한국국제상학회
- 저자명
- 이민규
- 간행물 정보
- 『국제상학』第38卷 第1號, 177~19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1년도 ADB-MRIOT 국제산업연관표와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Port-MIS) 수출입 항만물동량 통계를 접목하여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항만물동량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ADB-MRIOT 35개 산업과 Port-MIS의 화물품목을 서로 매칭하여 14개 산업부문으로 재분류하였다. 그리고 수출입 유발액과 항만물동량 원단위를 곱함함으로써 항만물동량 및 컨테이너물동량 유발효과를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중국과 미국 경제성장률 둔화에 따라 전기 및 전자기기, 화학제품, 비금속광물제품의 항만물동량 감소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영향력 측면에서 항만물동량 변수가 부가가치 변수에 비해서 훨씬 민감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구축 모형은 정부의 항만관련 상위계획 수립 단계에서 글로벌 통상여건 변동에 따른 항만 물동량을 예측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 of trade conflicts between China and the U.S.A. on Korean seaborne export and import volum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employs input-output analysis (i.e. value-added and maritime volume inducing effects) that combined ADB multi-regional input-output tables with por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ort-MIS) statistics from the year 2021.
Results: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the China-US trade conflict induced a large drop in seaborne trade volumes of electrical and optical equipment, chemicals and chemical products, and other nonmetallic minerals. From perspectives on the impact of the USChina trade war, the variable of seaborne trade volume has more elasticity than value-added variables.
Conclusions: C ombination o f A DB m ulti-regional i nput-output t ables w ith P ort-MIS statistics will expand the scope of trad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formulated model will contribute to helping forecast seaborne trade volumes according to varying global trade condi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모형
Ⅲ. 분석 자료 및 분석 과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OVID 19에 따른 재택근무에 대한 인식 차이
- 우리나라 무역사기 사례 분석에 관한 연구
- 자유무역협정상 물품무역의 수입국 조치와 관련된 투자협정중재에 관한 고찰
- 통합물류 서비스 품질이 중국 소비자 고객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의류 수출제조업체의 친환경 네트워킹 기술이 Green SCM 효율성 및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
- 국제투자중재절차에서 반대청구에 관한 연구
- 한국의 대(對)인도네시아 수출경쟁력 분석 및 한·인도네시아 CEPA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항만물동량 영향 분석
- 한국 주요 수출 상품의 대 호주 및 뉴질랜드에 대한 불변시장점유율(CMS) 분석
- 국제상사중재상 택일조항과 기판력원칙의 적용에 관한 고찰
- 중재조항의 물적 관할 제한과 관련된 포괄적 보호 조항 및 최혜국대우조항 적용에 관한 연구
- 통상피해와 무역조정지원(TAA) 제도 연구
- FTA 확대에 따른 원산지확인서 발급 실태 및 개선방안
- EU 탄소국경조정제도의 한국 수출 및 GVC 영향 분석
- 수입물품에 대한 한중FTA와 APTA 원산지규정의 적용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NEW
- K-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가 매장이용태도,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화장품성분 고려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평일전환에 따른 영세소매업 폐점률 영향 분석
- The Influence of Passenger and Destination Characteristics on Attitudes Toward Logistics-Based Advertising : Exploring Moderating and Mediating Variabl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