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주요 수출 상품의 대 호주 및 뉴질랜드에 대한 불변시장점유율(CMS) 분석
이용수 45
- 영문명
- Analysis of the CMS for Korea's Major Exports to Australia and New Zealand: Comparisons with China and Japan
- 발행기관
- 한국국제상학회
- 저자명
- 조일림 라공우
- 간행물 정보
- 『국제상학』第38卷 第1號, 215~23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RCEP 발효 후, 한국의 주요 수출 상품 20개 품목에 대해 한·중·일의 대 호주 및 뉴질랜드에 대한 국제경쟁력을 분석하기 위해 품목별 시장점유율, 불변시장점유율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었다. 분석 결과, 한국의 대 호주 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이 강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한국의 대 뉴질랜드 시장의 HS2710(석유와 역청유)품목과 HS7210(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의 시장점유율은 상대적으로 높은 추세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중·일의 대 호주 불변시장점유율 변화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한국과 일본은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데 반해 중국은 몇몇 품목에서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한국의 대 뉴질랜드 시장의 수출증감액 분해 결과를 보면, 대부분 상품의 수출 감소하는 이유는 모든 경쟁력 요인과 상품공급구조변동 요인 분석 결과는 마이너스(-)를 기록하여 대 뉴질랜드 수출 감소 요인으로 작용한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s 20 major export items to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markets with those of China and Japa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In this study, trade statistics are extracted from the UN Comtrade database and are analyzed using Constant Market Share (CMS) and Market Share models for each item.
Results: Korea's share of the Australian market is strong, and Korea's share of HS2710 and HS7210 in the New Zealand market is relatively high, and appears to be trending up. Looking at the overall changes in CMS for Korea, China, and Japan in Australia, Korea and Japan show a gradual decrease, while China shows a significant increase in some items.
Conclusions: Korea needs a strategy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for items in which the market share of rival countries is increasing, and should use a business model that can utilize a RCEP.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분석과 한국의 대 호주 및 뉴질랜드 무역 현황
Ⅲ. 한·중·일 주요 수출 상품의 대 호주 및 뉴질랜드 시장에서 불변시장점유율 분석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OVID 19에 따른 재택근무에 대한 인식 차이
- 우리나라 무역사기 사례 분석에 관한 연구
- 자유무역협정상 물품무역의 수입국 조치와 관련된 투자협정중재에 관한 고찰
- 통합물류 서비스 품질이 중국 소비자 고객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의류 수출제조업체의 친환경 네트워킹 기술이 Green SCM 효율성 및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
- 국제투자중재절차에서 반대청구에 관한 연구
- 한국의 대(對)인도네시아 수출경쟁력 분석 및 한·인도네시아 CEPA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항만물동량 영향 분석
- 한국 주요 수출 상품의 대 호주 및 뉴질랜드에 대한 불변시장점유율(CMS) 분석
- 국제상사중재상 택일조항과 기판력원칙의 적용에 관한 고찰
- 중재조항의 물적 관할 제한과 관련된 포괄적 보호 조항 및 최혜국대우조항 적용에 관한 연구
- 통상피해와 무역조정지원(TAA) 제도 연구
- FTA 확대에 따른 원산지확인서 발급 실태 및 개선방안
- EU 탄소국경조정제도의 한국 수출 및 GVC 영향 분석
- 수입물품에 대한 한중FTA와 APTA 원산지규정의 적용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NEW
- K-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가 매장이용태도,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화장품성분 고려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평일전환에 따른 영세소매업 폐점률 영향 분석
- The Influence of Passenger and Destination Characteristics on Attitudes Toward Logistics-Based Advertising : Exploring Moderating and Mediating Variabl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