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Qian Mu's Research on the Book of Changes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劉榮釗 楊兆貴 趙殷尚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81집, 395~41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목(錢穆, 1895-1990)은 중국의 국학대사(國學大師)로 《중국근삼백년학술사(中國近三百年學術史)》와 《국사대강(國史大綱)》등을 저술하였다. 《역(易)》학에 관한 전목의 연구는 매우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는 경문(經文), 상수(象數), 의리(義理)에 대해 연구를 진행한 것이 아니라 《역》학과 서로 관련이 있는 문제에 대해 학술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는 역사 진화적 관점에서 ‘팔괘문자(八卦文字)’, ‘상수일원(象數一原)’ 등의 관계와 변천을 연구하였으며, 《십익(十翼)》은 공자가 지은 것이 아니라고 평생 주장하였다. 그는 《논어》가 《역전(易傳)》과 사상이 달라서 공자가 <역전>을 짓지 않았다고 여겼고, 선진시기 유학사상의 발전사에 기초하여 순자는 《역》을 말하지 않았다고 지적하였다. 유생들은 진시황제가 불태워 없애지 않은 《역》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고, 이로 인해 《역》은 한나라 때 많은 주목을 받았다. 《역》에 관한 전목의 견해는 주자의 영향을 일부 받아드렸고, 그의 관점을 인용·설명하면서 발전시켰다.
영문 초록
Qian Mu’s 錢穆 research on the Yijing 易經 (Book of Changes) is distinct from the studies of other scholars in that it is focused on the controversial issues related to the Book of Changes, instead of examining the text itself. He conducted historical and textual analysis in exploring the relationship and evolution of bagua 八卦 symbols and xiangshu yi yuan 象數一原. Throughout his life, he insisted that “Ten Wings” should not be written by Confucius. He argued that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the Yizhuan 易傳 (a.k.a. Ten Wings) were different in their teachings, and Confucius cannot be the author of the Yizhuan. Based on the history of pre-Qin Confucianism, he pointed out that Xunzi did not teach the Book of Changes. According to him, the study of the Book of Changes had increased immensely among Confucian scholars especially during the Han dynasty. This is mainly because the Book of Changes survived the disaster of fenshu kengru 焚書坑儒.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Qian Mu’s views on the Book of Changes were deeply influenced by Zhu Xi 朱熹, and his studies can be seen as the extensions of Zhu Xi’s view on the Book of Changes.
목차
Ⅰ. 引言
Ⅱ. 錢穆《易》學硏究論·評
Ⅲ. 總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錢穆先生《易》學研究
- 汉韩反诘语气副词“难道”与“설마”的对比研究
- 女性生命的畸变及自我救赎
- 『上海博物館藏戰國楚竹書』「性情論」에 나타난 유가 초기의 性情 개념 연구
- 張志和의「漁歌」가 朝鮮詞에 미친 영향
- 『晉侯蘇鐘』의 ‘𠂤’자와 서주 금문의 ‘𠂤’자에 대한 용법 고찰(上)
- 적응형학습개념을 적용한 온라인중국어수업 발음과제의 설계
- 인식론적 관점에서 바라본 문말조사 ‘了’
- 中國人文學會 會則 외
- 영혼의 교체 현상 연구
- “是否”詞性與相關問題新探
- 王维诗歌画家视角下的审美观照
- 영화 <국두(菊豆)>에서 나타나는 욕망과 금기
- 4차 산업혁명에서의 자주적 대학교육
- 基于女性主义视野下的池莉小说日常生活叙事研究
- 中朝文人笔下毛文龙形象的对比研究
- 中日韩共通汉字词意义用法的对比研究
- 有關上古漢語重疊式聯綿詞的考察
- 錢時의 《融堂書解》 연구
- 论“某”及“某”字结构的有定与无定
- 中国古代家训文化对当代人文教育的价值研究
- 中国虫茶的发展现状及其价值研究
- 《狄公案》의 문화콘텐츠 변용 양상 고찰
- 중국인문과학 제81집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이야기 할머니’ 구연과 융복합 공연의 유아 수용양상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 대종교 포명서의 창세신화적 성격
-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보이는 현실성과 초월성의 구현 양상과 의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