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ntence-final Particle 'Le(了)' from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李惠貞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81집, 141~15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역사발전사적인 관점에서 보면 문말조사 ‘了’는 시간성을 지닌 동사 了(liǎo)에서 기원했지만 南宋중말엽 ‘了’ 자체의 허화와 ‘也’의 기능 흡수를 통해 화·청자의 인식에 관여하는 의외성 표지로 발전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은 현대중국어까지 전승되어 문말조사 ‘了’는 여전히 의외성 표지로 기능하고 있고 그 의미양상은 (1) 화·청자에게 새로운 정보, (2) 화·청자의 예상과 반대되는 일로 대별된다. ‘了’의 의외성은 두 가지 방면에서 구현되고 있다. 첫째, 부정명제와 양립 가능하다. 기존에는 문말조사 ‘了’를 시상 범주에 귀속시켰기 때문에 부정명제와 ‘了’ 사이의 양립 현상에 대한 설명이 요구되었다. 하지만 본고에서처럼 인식 범주에 귀속시킨 문말조사 ‘了’는 긍정명제이든 부정명제이든 상관없이 모두 인식의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담화 문맥상 문제가 없다면 제약 없이 결합할 수 있다. 둘째, 시상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了는 의외성 표지로서 과거 및 미래 완료상에 해당하는 사건을 나타내는 명제뿐만 아니라 정태문과 함께 미완료상에 해당하는 진행사건을 나타내는 명제까지도 담화·화용상 필요하다면 공기가 가능하다.
영문 초록
From a grammatical perspective, the Sentence-final Particle '了' originated from the verb 'liao(了)', which has Temporality. However, It has been grammaticalized since the mid-late period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In addition, through the absorption of the function of 'ye(也)', it develops into a mirativity marker that is involved in the recognition of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This function has been passed down to modern Chinese, and the Sentence-Final Particle 'liao' still functions as an mirativity marker, and its meaning is distinguished as (1) new information to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and (2) contrary things to the speaker and listener's expectations. This mirativity of 'liao' is implemented in two ways as follows. First, it is compatible with the negative. Previously, the Sentence-Final Particle 'liao' was considered a particle in the tense-aspect category, so an explanation of the phenomenon of a negative and '了' co-occurring within a sentence was required. However, 'liao' in the epistemological category can be the subject of recognition, whether the proposition is positive or negative, so no problem occurs unless there is a problem in the context of discourse. Second, it is not constrained by a tense-aspect. ‘The 'mirality' of 'liao' allows for events that correspond to the ’past perfective aspect’ and the ‘future perfective aspect’, as well as events that correspond to the ’stative setense’ and even the progressive event corresponding to the ‘imperfective aspect’.
목차
Ⅰ. 서론
Ⅱ. 의외성에 대한 기존 정의
Ⅲ. ‘了’의 의외성 표지로의 발전과정
Ⅳ. 공시평면에 나타나는 ‘了’의 의외성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錢穆先生《易》學研究
- 汉韩反诘语气副词“难道”与“설마”的对比研究
- 女性生命的畸变及自我救赎
- 『上海博物館藏戰國楚竹書』「性情論」에 나타난 유가 초기의 性情 개념 연구
- 張志和의「漁歌」가 朝鮮詞에 미친 영향
- 『晉侯蘇鐘』의 ‘𠂤’자와 서주 금문의 ‘𠂤’자에 대한 용법 고찰(上)
- 적응형학습개념을 적용한 온라인중국어수업 발음과제의 설계
- 인식론적 관점에서 바라본 문말조사 ‘了’
- 中國人文學會 會則 외
- 영혼의 교체 현상 연구
- “是否”詞性與相關問題新探
- 王维诗歌画家视角下的审美观照
- 영화 <국두(菊豆)>에서 나타나는 욕망과 금기
- 4차 산업혁명에서의 자주적 대학교육
- 基于女性主义视野下的池莉小说日常生活叙事研究
- 中朝文人笔下毛文龙形象的对比研究
- 中日韩共通汉字词意义用法的对比研究
- 有關上古漢語重疊式聯綿詞的考察
- 錢時의 《融堂書解》 연구
- 论“某”及“某”字结构的有定与无定
- 中国古代家训文化对当代人文教育的价值研究
- 中国虫茶的发展现状及其价值研究
- 《狄公案》의 문화콘텐츠 변용 양상 고찰
- 중국인문과학 제81집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이야기 할머니’ 구연과 융복합 공연의 유아 수용양상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 대종교 포명서의 창세신화적 성격
-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보이는 현실성과 초월성의 구현 양상과 의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