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istortion and Self-Redemption of Women's Lives: Take Ge Shuiping's “Han Shan” and “Shuai Bian” as examples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赵雪 孙明霞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81집, 231~24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소설 <산이 울다(喊山)>와 <채찍돌림(甩鞭)>은 작가 거수이핑(葛水平)의 대표작으로 작품의 여주인공이 가혹한 인생에 맞서 어떻게 분투하고 반항했는지를 묘사하였다. 아울러 <산이 울다>와 <채찍돌림>은 모두 타이항산 농촌을 배경으로 하여 사람과 사물을 그린 전통 향토소설이다. 작가 거수이핑은 산시(山西)성 친수이(沁水)현에 있는 척박하고 교통이 불편한 외진 지역인 십리(十里) 마을 산신와(山神凹)에서 태어났다. 이 황량하고 외딴 마을의 사람들은 우매하고 보수적이며 고단한 삶을 보내고 있다. 이는 작가가 문학 창작에 있어 상상력이 넘치는 창작 공간과 창작 소재를 제공해 주었다. 이 지역에 생활한 여성 작가로서 타이항산맥에서 생활하는 여성의 운명을 감정적으로 공감하고 여성의 운명을 더 쉽게 이해하였다. 또한 작가의 글에서 고난에 맞서는 여성의 강인함, 용기, 불굴 정신 등이 저자의 글에서 잘 드러났고 작품에서 시골 여성 군상을 통해 뚜렷한 페미니즘의 형상을 찾아볼 수 있다. 그녀들이 연약해 보이지만 강직했고, 운명에 굴복하지 않고 고난에 직면하여 투쟁했다. 본 논문은 두 텍스트의 내용을 바탕으로 주요 인물과 그녀들을 통해 나타난 페미니즘 특성을 분석하고, 등장인물들이 여성 의식을 어떻게 스스로 깨우쳤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근거하여 저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심층적인 의미 즉, 중국 여성의 자아 구원의 길을 탐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Ge Shuiping is a famous contemporary Chinese writer. From childhood,Ge Shuiping was living in Taihang mountain. As a female writer, lacal women's fate makes that she can have an emotional resonance. In her writing, her identity as a woman can better help her understand the fate of women, but also better show women in the face of suffering, strong, brave, unyielding spirit. In Ge's novels, the women are basically women living in the countryside, who have not received much education and have a low level of education. As a vulnerable group, they can only choose to swallow their pride at the beginning. However, their indomitable spirit is valuable, they face the injustice of fate, from tolerance to resistance, and finally complete self-redemption, consciousness awakening is the premise, which mainly includes self-consciousness and gender consciousness of two levels of awakening. Based on the main content of the two novels, this paper will analyze the main characters and their feminist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ime, it analyzes the awakening of female consciousness of the characters in the book. And the author wants to express the deep meaning, that is, Chinese women's self-salvation road is discussed.
목차
Ⅰ. 绪论
Ⅱ. 作者葛水平的生命体验
Ⅲ. 《喊山》《甩鞭》的女性书写
Ⅳ. 女性的自我救赎道路
Ⅴ. 結論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錢穆先生《易》學研究
- 汉韩反诘语气副词“难道”与“설마”的对比研究
- 女性生命的畸变及自我救赎
- 『上海博物館藏戰國楚竹書』「性情論」에 나타난 유가 초기의 性情 개념 연구
- 張志和의「漁歌」가 朝鮮詞에 미친 영향
- 『晉侯蘇鐘』의 ‘𠂤’자와 서주 금문의 ‘𠂤’자에 대한 용법 고찰(上)
- 적응형학습개념을 적용한 온라인중국어수업 발음과제의 설계
- 인식론적 관점에서 바라본 문말조사 ‘了’
- 中國人文學會 會則 외
- 영혼의 교체 현상 연구
- “是否”詞性與相關問題新探
- 王维诗歌画家视角下的审美观照
- 영화 <국두(菊豆)>에서 나타나는 욕망과 금기
- 4차 산업혁명에서의 자주적 대학교육
- 基于女性主义视野下的池莉小说日常生活叙事研究
- 中朝文人笔下毛文龙形象的对比研究
- 中日韩共通汉字词意义用法的对比研究
- 有關上古漢語重疊式聯綿詞的考察
- 錢時의 《融堂書解》 연구
- 论“某”及“某”字结构的有定与无定
- 中国古代家训文化对当代人文教育的价值研究
- 中国虫茶的发展现状及其价值研究
- 《狄公案》의 문화콘텐츠 변용 양상 고찰
- 중국인문과학 제81집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이야기 할머니’ 구연과 융복합 공연의 유아 수용양상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 대종교 포명서의 창세신화적 성격
-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보이는 현실성과 초월성의 구현 양상과 의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