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간중심적인 대상적 차별을 넘어서
이용수 18
- 영문명
- Beyond the anthropocentricism: Nietzsche's the One and Wonhyo's One Mind
- 발행기관
- 한국니체학회
- 저자명
- 이주향(Lee, Juhyang)
- 간행물 정보
- 『니체연구』제6호,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0.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생명력 넘치는 땅에 충실하라고 선포하는 니체가 본 존재의 실상은 무엇인가? 무엇을 보았기에 니체는 헤라클레이토스 곁에서는 따뜻해지고 기독교적 전통 속에 대해서는 냉정해지고 차가워지는가? “모든 아름다움은 생식하게끔 자극한다”고 믿는 니체는 금욕을 순결한 것으로 파악하는 기독교에 대해 “삶에 대한 원한”을 토대로 하고 있는 종교로 파악한다. 그렇다면 역시 수도자들에게 금욕을 요구하는 불교에 대해서도 동일한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인가? 묘하게도 니체는 인간중심적인 대상적 차별을 경계한다는 점에서 불교적 인식론을 닮아있다. 세상에 대한 그리고 ‘나’에 대한 근본적 인식은 동양과 서양을, 근대와 고대를 차별하지 않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니체는 헤라클레이토스의 “모든 것은 하나다”라는 명제를 통해 사물에 대한 인간적 편견을 지우려 했다. 필자는 헤라클레이토스의 명제를 통해 니체가 보려 했던 것이 대승의 중요한 경전인 『반야심경』의 핵심개념 ‘색즉시공(色卽是空)’의 이해 속에, 그리고 원효의 일심사상 안에 반복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 논문은 이들을 비교․분석하면서, 많이 닮아 있는 니체의 생성의 철학과 불교의 일심사상이 어떤 점에서 달라지는 지를 검토해볼 것이다. 그럼으로써 궁극에서 현대사회가 야기하는 문제를 누가 더 근원적으로 해결 혹은 해소할 수 있는 지 그 가능성을 살펴볼 것이다.
영문 초록
Friedrich Wilhelm Nietzsche proclaim “Be substantial in the world being overbrimming with life power.” What is the real fact of existence? Nietzsche deny God, but he agree with Heracleitos on ‘the one’. Nietzsche believes that every beautiful being stimulates sexual feeling. The passion is pure. But a Christian church grasps an ascetic life pure. So he hates the Christian church. So then, can he conclude identically about the Buddhism? The Buddhism demanded an ascetic life of a Buddhist priest. Strange to say, Nietzsche is similar to the Buddhism theory of knowledge in that he disagrees about the anthropocentric distinctions. Nietzsche wanted to push down human bias about the affairs from this proposition “Everything is one and the same.”(Heracleitos) I think it repeating in the philosophy of ‘One mind’ of Wonhyo. Through this thesis compares and analyzes these, I will study philosophical dialogues between Nietzsche and Wonhyo. In conclusion, I will investigate what philosophy can solve matter brought about modern society.
목차
1. 니체 철학과 종교
2. 니체의 생성의 철학과 기독교의 반자연
3. 관점적 가상성과 진망(眞妄)을 넘어서 :헤라클레이토스의 하나와 원효의 일심
4. 니체의 유럽과 우리의 현실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철학분야 NEW
-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중등 수업 사례
- 프랑스 철학교육사 속 어린이철학과 그 함의: 우리 어린이철학교육의 지향을 모색하며
- 그림책 철학수업에서 구현 가능한 미적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