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성과 이성의 타자
이용수 9
- 영문명
- Die Vernunft und das Andere der Vernunft
- 발행기관
- 한국니체학회
- 저자명
- 이상엽(Lee, Sang-Yeop)
- 간행물 정보
- 『니체연구』제6호,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0.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서양철학의 근본 기획인 이성에 의한 삶의 기획의 본질을 드러내고, 이 이성에 의해서 억압되고 배제된 이성의 타자인 감성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선 니체가 파악한 이성의 유익함과 해로움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니체에 따르면 이성은 통제와 합리화를 위한 도구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통제와 합리화 자체와 동일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이성은 본성상 일반화의 규칙에 따라 모든 것을 통제하고 합리화하는 극단적 경향으로 나아간다는 것이다. 그러고 나서 본 논문은 니체가 이성의 절대적 승리에 대항하여 펼쳤던 이성 비판의 논리를 살펴보고, 더 나아가 니체가 어떻게 감성의 보편성을 철학적으로 사유하고 이를 인간의 삶의 기초적 조건으로 만드는 지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제 감성은 더 이상 열등한 행위가 아니라 인간과 세계 간의 관계의 본질적인 토대가 된다. 감성의 복원은 인간의 세계관계의 원초적 형식을 복원하는 것과 같은 의미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니체의 감성의 복원은 몸의 복원을 함축하고 있다. 왜냐하면 감각하는 ‘몸의 이성’이 바로 감성이기 때문이다. 니체에게서 비로소 감성과 몸은 근본적으로 주제화되고 철학적 문제로 등장하게 된다. 끝으로 본 논문은 니체가 감성의 복원을 통해 고안하려고 했던 새로운 삶의 형식의 윤곽을 서술하고자 한다. 니체는 자연화된 인간의 모습을 바로 파괴와 예술적 창조의 이중성에서 파악하고 있다. 자연화된 인간이 추구해야할 새로운 삶의 방식은 몸의 이성인 감성의 힘에 기반을 두고 있는 ‘삶의 미학’이다. 삶의 미학은 감성의 심층적 이해와 예술적 창조를 통한 아름다운 삶의 형성, 즉 인간의 예술적 자기구성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Die vorliegende Arbeit zielt darauf, das Wesen des mittels Vernunft gestellten Projekt des Lebens zu begreifen, das als das europäische Lebensprojekt gelten wird, und Nietzsches Versuch der Wiederherstellung der Sinnlichkeit in modernem Leben darzustellen, die als das Andere der Vernunft in der europäischen Geistesgeschichte von der Vernunft unterdrückt und ausgeschloßen wird. Demfolge versucht die vorlegende Arbeit zunächst, Nietzsches Vorstellung vom Nutzen und Nachteil von der Vernunft im Leben zu erörtern. Nach ihm gilt Vernunft nicht nur als Mittel zum Zweck der Kontrolle und Rationalisierung, sondern gleichsam als Kontroll und Rationalisierung selbst. D. h.: Die Vernunft tendiert sich ihrer Natur nach dazu, nach Gesetz der Universalisierung alles zu rationalisieren und kontrollieren. Danach stellt die vorlegende Arbeit Nietzsches Logik der Vernunftkritik dar, und versucht auf die Frage zu antworten, wie Nietzsche über Universalität der Sinnlichkeit nachdenkt und warum er sie als eine fundamentale Bedingung des Lebens auffaßt. Nun wird Sinnlichkeit nicht mehr als niedriges Vermögen, sondern vielmehr als grundsätzliches Fundament des Verhältnisses zwischen Menschen und seiner Welt angesehen. Die Wiederherstellung der Sinnlichkeit bedeutet daher die Wiederherstellung der ursprünglichen Verhältnisform zwischen Menschen und seiner Welt. Übrigens bedeutet sie auch die Wiederherstellung des menschlichen Leibes, weil ‘Vernunft des Leibes’ gerade Sinnlichkeit ist. Bei Nietzsche wird Sinnlichkeit und Leib zuerst grundsätzlich thematisiert und wird zu philosophischer Problematik. Letztlich legt die vorliegende Arbeit die Konturen der neuen Lebensform, die Neitzsche durch Wiederherstellung der Sinnlichkeit konzipiert, dar. Nietzsche faßt das Bild des naturalisierten Menschen in der doppelten Form, nämlich der Destruktion und des künstlerischen Schaffen, auf. Die neue Lebensform, die naturalisierte Menschen verfolgen soll, ist für Nietzsche die Ästhetik des Lebens, die sich auf Sinnlichkeit als Vernunft des Leibes begründet. Die Ästhetik des Lebens bedeutet die schöne Bildung des Lebens mittels Kraft eines tiefen sinnlichen Verstehens und künstlerischen Schaffens, also die künstlerische Selbstkonstituion des menschlichen Lebens.
목차
1. 머리말
2. 현대인의 삶
3. 이성의 허구성 - 논리, 언어, 주체, 의식의 비판에 대하여
4. 감성의 힘 - 몸을 뿌리로 하여
5. 삶의 미학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철학분야 NEW
-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중등 수업 사례
- 프랑스 철학교육사 속 어린이철학과 그 함의: 우리 어린이철학교육의 지향을 모색하며
- 그림책 철학수업에서 구현 가능한 미적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