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네덜란드 신민법전의 의의와 특색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박정기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4권 제1호, 217~23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article considers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New Civil Code of Netherlands. The Old Civil Code of Netherlands was effective in 1838, and it had many similar rules to the Civil Code of France. The necessity for New Civil Code after World War II had increased in Netherlands so that Professor Meijers took over the revision of Old Civil Code. The New Civil Code of Netherlands was effective on January 1, 1992. The New Civil Code of Netherlands does not have a key role in international transaction of Korea but in academia. There are some reasons for this : It is the result of the most recent revision by largest size and its contents have noticeable characteristics. That is, the current revision focused on international transaction and transaction within Europe. It pursues New Civil Code that meets the problems of modern society. In addition, the current revision has many regulations for consumer protect. Furthermore, New Civil Code of Netherlands can be a result of comparative laws, e.g., BGB and common law, and CISG etc. It also has a relationship with movements of private law unification and of edition of the European contracts law. We can obtain many suggestions and new insight from prospects to the future of Korean law through research of New Civil Code of Netherlands. This article considers the history of Netherlands law,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New Civil Code of Netherlands.
목차
Ⅰ. 서
Ⅱ. 네덜란드 민법의 역사
Ⅲ. 법전의 구성
Ⅳ. 특색
Ⅴ. 결어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제기능기구의 정치적 분석을 위한 이론적 검토
- 호주의 세제개혁(GST)과 한국의 통상전략
- 세계체제론의 외교정책 분석방법
- 사할린 한인의 이주와 노동, 1939-1945
- 네덜란드 신민법전의 의의와 특색
- 현대 말레이시아 농촌의 이슬람화와 사회변동
- 아프리카의 민주혁명
- A Korean Perception on the Palestine Problem
- 한국의 지역연구
- Growth, Stability and Human Capital Investment: Germany and the United Kingdom in the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 러시아 극동지역의 발전과정에서 나타난 황화론(黃禍論)에 관한 연구
- 소연방 붕괴 이후 중앙아시아국가들의 천연에너지 자원개발을 통해서 본 국가건설의 제문제와 그 전망(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