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Korean Perception on the Palestine Problem
이용수 0
- 영문명
- A Korean Perception on the Palestine Problem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Byoungjoo Hah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4권 제1호, 175~19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99년 9월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정부간에 와이 리버 평화 협정(The Wye River Peace Accords)을 수정 보완함으로써 그동안 교착 상태에 있던 중동평화 협상의 돌파구를 마련했다. 이를 계기로 이 글에서는 우선 그동안의 중동평화 협상 경과를 살펴보며 그에 따른 한국의 대 중동정책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과거 한국의 대 중동정책이 소극적인 자세에서 간접적이나마 팔레스타인 문제에 조그만 역할을 해 나감으로써 전향적인 자세로 전환되어가고 있음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는 현재 냉전체제 붕괴이후 팩스아메리카주의의 산물로 등장하고 있는 다자주의(Multilateralism)에 대한 한국의 적절한 이해와 대응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이러한 다자주의의 성공은 국제관계에 있어서 경제우선 논리에 입각하고 있다는 명제 하에 그 의미를 고찰하는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아울러 그 것이 한반도에는 어떤 의미로 비춰지는지 새겨보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Introduction
Ⅱ. Korean Policy Trends toward the Middle East
Ⅲ. The Palestine Conflict
Ⅳ. Multilateralism and Palestine-Korea Relations
Ⅴ. The Palestine and the Gulf Crisis
Ⅵ. Concluding Remarks
BIBLIOGRAPHY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제기능기구의 정치적 분석을 위한 이론적 검토
- 호주의 세제개혁(GST)과 한국의 통상전략
- 세계체제론의 외교정책 분석방법
- 사할린 한인의 이주와 노동, 1939-1945
- 네덜란드 신민법전의 의의와 특색
- 현대 말레이시아 농촌의 이슬람화와 사회변동
- 아프리카의 민주혁명
- A Korean Perception on the Palestine Problem
- 한국의 지역연구
- Growth, Stability and Human Capital Investment: Germany and the United Kingdom in the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 러시아 극동지역의 발전과정에서 나타난 황화론(黃禍論)에 관한 연구
- 소연방 붕괴 이후 중앙아시아국가들의 천연에너지 자원개발을 통해서 본 국가건설의 제문제와 그 전망(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