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Business Strategy Changes of Korean Enterprises Followed by the Proliferation of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Korea and Chile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심동섭(Dong-Sup Shim) 서청석(Suh Chung-Suk)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2권 제3호, 495~51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유무역협정 체제의 확산에 따라 격동하는 기업환경의 변화에 과연 한국기업들이 실제 어떻게 대응하여 한·칠레 자유무역협정 체제출범(‘04.4.1) 전후로 기업경영성과가 변화하였고 기업경영전략의 변화가 있었는지를 실증 분석한 것인데, 연구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FTA 확산에 따른 경영환경의 변화에 한국기업들이 모두 전략적으로 대응하여 FTA 발효 이후 기업경영성과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대기업(다국적 기업 포함)경우는 환경변화(산업매력도)와 당사의 사업역량을 모두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대응해 나가는 반면에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시장의 변화보다는 당사의 사업역량에 의거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기업경영환경의 변화에 따라 해외시장에 대한 평가가 변화하더라도 투자여력 등 사업역량이 약한 중소기업이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기 힘든 현실을 반영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FTA 체제 출범 전후로 다국적 기업은 기업경영전략이 변화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다국적 기업은 FTA 출범 전에 이미 글로벌 경영을 시작하였으므로 FTA 체제 출범이후에도 실제 경영전략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looks into the change in business strategies of Korean firms under the inauguration of FTA between Korea and Chile. In conclusion, the business strategy changes of Korean enterprises followed by the proliferation of FTA between Korea and Chile are able to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ly under the proliferation of FTA, Korean companies have strategically responded so as to achieve the positive results of their businesses after the inauguration of the FTA system since April 1, 2004. Secondly, Korean large corporations including multinational corporations dealt with this changes of business environments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both the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s(Industry Attractiveness) and their Businesses Strengths, while SMEs have positively responded to the changes of business environments on the basis of their Business Strengths rather than the changes in the market. Lastly, the business strategies of Korean multinational corporations did not change much even after the inauguration of the FTA system, due to the fact that they had already started a global business strategy before the spread of FTAs.
목차
Ⅰ. 서론
Ⅱ. 자유무역협정 확산의 영향
Ⅲ.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Ⅳ. 연구모형
Ⅴ. 실증 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환경이 학습전이 의도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의 일본시장에 대한 교역구조와 비교우위 패턴 분석
- Optimal Monetary Policy under Regime Switches: the case of US Housing Market
- Vertical Integration and Its Performance: An Empirical Analysis on Korean Listed Corporations
- 중국의 지역별 수출과 경제성장의 인과관계 분석(1952-2004)
- CGE모형을 이용한 한-아세안 FTA 서비스무역협정의 경제적 효과분석
- 한국 주식시장에서의 계속투자전략 및 반전투자전략의 성과와 외국인투자자의 투자행태
- The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Changes of Agricultural Sector in Transition Countries: Focusing on the Effects of Policy Reform and Initial Conditions
- 축제개최 지역주민의 축제효과요인 인식이 축제참여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 MICE산업 발전요인이 중앙정부·전담기구의 역할 및 산업파급효과에 미치는 영향
- Managing Hybrid Marketing Channels for Fashion Apparel Industry(in Korea)
- Economics of Supercapitalism: How Does Economic Globalization Affect Social Capital Accumulation? In the case of 65 countries.
- 한국소비자 특성과 구매성향이 브랜드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 제품속성, 브랜드 및 기업 이미지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영국, 스페인의 소매금융 국제비교
- 한·칠레 자유무역협정 확산에 따른 한국기업의 경영전략 변화에 관한 연구
- OECD국가의 준 내생적 성장이론 및 완전한 내생적 성장이론에 대한 실증고찰
- 한국의 광의통화(M2)와 광의유동성(L)에 대한 화폐수요의 장기적 안정성 검정
- The Pattern of Penetration of US Films into Foreign Film Markets
- A Study on the Management Strategies of Korean Enterprises against the Factors of Locally Political Circumstance in Russia: Focusing on the Empirical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미국 사회적 보수주의 가치와 유권자 성향
- 한국 벤처기업의 해외진출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섬유·패션기업의 공간근접성에 따른 효율성 분석
- 한・중 정보통신기기 산업의 무역구조 분석
- 대만과 한국 중소벤처기업의 외국비용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