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의 광의통화(M2)와 광의유동성(L)에 대한 화폐수요의 장기적 안정성 검정

이용수  0

영문명
The Long-Run Demand for Monetary Indicator M2 and Liquidity Indicator L: Case in Korea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김종구(Kim JoungGu)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12권 제3호, 171~19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1980:1-2006:3분기간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의 광의통화(M2)와 광의유동성(L)에 대한 개방형 화폐수요함수를 계절성과 외환위기를 고려한 공적분 검정 및 오차수정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결과 한국의 광의통화(M2)와 광의유동성(L)은 실질소득, 회사채수익률, 인플레이션 불확실성, 실질실효환율, 환율불확실성, LIBOR금리간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여 이들 변수들 사이에 안정적인 장기균형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의통화(M2)변동은 환율불확실성 변화에 가장 크게 의존하며 LIBOR금리 변화와 미세하지만 실질실효환율 및 소득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의유동성(L)의 경우에는 환율불확실성의 변화에 가장 크게 의존하며 광의유동성 수요와 실질소득변화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회사채수익률, 인플레이션불확실성, 실질실효환율, LIBOR금리 등의 변화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sis the long-run demand for monetary indicator M2 and Liquidity indicator L in Korea in the period from 1980:1 to 2006:3 by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models. The empirical evidence that M2, L in Korea is meaningfully cointegrated with income, interest rate, exchange rate, inflation uncertainty,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exchange rate uncertainty and LIBOR, thus showing the existence of long-run demand function under open-economy framework.

목차

Ⅰ. 서론
Ⅱ. 분석모형의 설정과 자료의 안정성 검정
Ⅲ. 실증분석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구(Kim JoungGu) . (2008).한국의 광의통화(M2)와 광의유동성(L)에 대한 화폐수요의 장기적 안정성 검정. 국제지역연구, 12 (3), 171-194

MLA

김종구(Kim JoungGu) . "한국의 광의통화(M2)와 광의유동성(L)에 대한 화폐수요의 장기적 안정성 검정." 국제지역연구, 12.3(2008): 171-1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