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FTA체제 下에서의 한국의 무역구제제도 및 한·중FTA 무역구제 협상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n The Korean Trade Remedy System under the FTA and the Negotiation of Trade Remedy in Korea-China FTA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김용덕(Yong Duck Kim) 김수미(Su-Mi Kim)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13권 제2호, 525~55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에는 WTO의 다자주의 체제에 대비되어 지역주의 또는 양자주의를 표방하는 FTA의 체결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FTA 체제하에서 무역구제제도는 존립 필요성 및 내용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를 가지고 있다. FTA체제 하에서 무역구제제도의 존립근거는 GATT 제24조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공식적인 무역구제제도는 반덤핑, 상계, 세이프가드가 있고 본 연구는 이러한 협의의 무역구제제도 개념에 국한하여 이루어졌다. FTA체결 시에는 한국의 경제상황과 국내산업 보호 필요성을 충분히 고려하고 FTA협상 상대국 별로 다른 무역구제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의 기 체결된 FTA에서 무역구제제도는 대체로 WTO협정의 권리와 의무를 유지하고, 일부 FTA 무역구제분야에서 상황에 따라 협정의 일부를 변경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의 분석결과를 실제 한․중 FTA의 무역구제 협상에 적용하였는데 즉, 중국과의 산업전반 및 주요 교역품목에 관한 경쟁력 우열관계를 고려하여 무역구제제도가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FTA의 체결 목적을 충분히 고려하고, 예상치 못한 경제상황 변화에 대비한다는 취지에서 무역구제조치의 발동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민감품목에 대해서는 추가로 특별세이프가드 규정을 도입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Currently, the Free Trade Agreement(FTA) promoting regionalism or bilateralism has been increasingly concluded, which is against multilateralism of the WTO. The adoption of the TRS under the FTA carries various issues from the rationale of its existence to its contents. To explain these contradictory issues between the WTO and the FTA, this paper studied on the TRS by analyzing present cases and negotiation results of the TRS under the FTA and comparing them under the WTO. The TRS under the WTO agreement is limited only to antidumping, countervailing duties and safeguard as the agreed concept. When the negotiations of the FTA are on the process, it is necessary to adopt the TRS depending on the negotiating party countries of the FTA after considering fully the economic situations of Korea and the need of protection for the domestic industries. Currently, Korea has entered into the FTA with several countries and most of the agreements with respect to the TRS maintain and observe the right and duty in the WTO agreement and when necessary, in some of the FTA agreements, they have changed parts of the TRS. Consequently, it is needed to establish the basis for application of the TRS. Also, additional application of the SSG provision to some sensitive goods is highly recommended.

목차

Ⅰ. 서론
Ⅱ. FTA 체결 및 무역구제제도 이용 현황
Ⅲ. FTA와 무역구제제도의 관계
Ⅳ. 한국FTA의 무역구제제도 분석
Ⅴ. 한국의 무역구제 협상 적용: 한·중FTA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용덕(Yong Duck Kim),김수미(Su-Mi Kim) . (2009).FTA체제 下에서의 한국의 무역구제제도 및 한·중FTA 무역구제 협상. 국제지역연구, 13 (2), 525-552

MLA

김용덕(Yong Duck Kim),김수미(Su-Mi Kim) . "FTA체제 下에서의 한국의 무역구제제도 및 한·중FTA 무역구제 협상." 국제지역연구, 13.2(2009): 525-5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