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Strategy of Korean Economy Through Economic Cooperation with Central Asian Countries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정행득(Chung,Haing-Deuck) 이상호(Sang Ho Lee)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3권 제2호, 311~33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원전쟁 시대에 한국 경제가 생존하고 번영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자원의 자주개발률 제고, 신재생에너지 공급비중 확대 등과 함께 자원부국과의 경제협력 확대가 요구되고 있다. 안정적인 국민 경제 발전에 필수적인 원자재의 안정적 확보 및 신규 해외시장 개척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 에너지의 97%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해외자원개발을 통한 자주개발률을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한 국가적 과제가 되고 있고, 그러한 관점에서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중앙아시아 지역은 한국의 해외 에너지 자원개발과 에너지 안보 보장을 위해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중앙아시아는 지리적 거리감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정치ㆍ경제ㆍ민족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그러나 한국의 중앙아시아 진출은 아직까지 미약하며 체계적인 정책수립의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다. 미국, 일본, 중국, EU 등 주요국의 중앙아시아 진출 전략에서 보듯이 한국의 경우 우선적으로 중앙아시아에서 지속적으로 국가 이미지를 제고해야 할 것이다. ODA 지원 확대, ADB 등 국제기구의 중앙아시아 지원 사업 적극 참여 등을 통해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인 중앙아시아 진출 기반 확대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정부의 적극적인 중앙아시아 진출 환경 조성 노력 하에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들의 활발한 진출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해야 한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survive the on-going natural resource war, Korea needs various efforts such as enhancing self-exploitation ratio, increasing the supply of new-reuse energy, strengthening cooperation with resource rich countries. Central Asian countries are geometrically far away from Korea. However, Korea should try to develop political, economic and ethnic relationship with those countries into much higher dimension to secure various natural resources. Major countries including U.S., EU. Japan and China are approaching Central Asian countries with long term perspective. Improving country-image through enlargement of ODA is the first concern of those countries. Korea should try to follow their practices. Government should try to improve Korea's image in the first place and lead economic cooperation with very detailed supportive measures to induce Korean firms' investment into the Central Asian countries. In the due process, a lot of information about those countries' political climate, social situation, ethnical composition, major religions, educational system, current state and structure of economies and industries, etc should be made available to Korean firms.
목차
Ⅰ. 서론
Ⅱ. 자원 민족주의 확산과 중앙아시아와의 경제협력 확대 필요성
Ⅲ. 한국과 중앙아시아와의 경제협력 현황
Ⅳ. 한국의 중앙아시아 진출 확대 전략
Ⅴ. 맺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Korea's Trade Complementarity With Major ASEAN Countries
- A Comparative Study of Vietnamese IJVs' Performance: A Two Country Empirical Examination
- 중・동유럽국들의 유럽연합(EU) 가입에 따른 무역창출효과 분석
- FTA체제 下에서의 한국의 무역구제제도 및 한·중FTA 무역구제 협상
- 아제르바이잔 정체성의 복합적 성격과 대외정책에의 함의
- 한미 FTA 및 WTO 분쟁해결제도 비교고찰
- 미국, 일본, 인도 증권시장 통합에 관한 연구
- Industrial Effects of Tariff Removal between Korea and Japan
- 미술경영의 범위와 확장에 관한 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s of Korean Tourism Firms: 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and Preparation of Constituents against FTA Environment
- Attitudes of Korean Workers towards Foreign Workers
- 자원기반관점에서의 한국 소프트웨어개발 벤처기업의 국제화
- 음식문화축제 방문객의 동기에 따른 세분화와 만족도
- 한국 기업의 GSCM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한국의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한 중앙아시아 진출 확대 전략
- Asymmetric Effects of US Housing Price Inflation on Optimal Monetary Policy
- 한-미 통상협상에서의 균등화전략 요소에 관한 연구
- 여수세계박람회 관람객 유치를 위한 세분화전략
- 재 한국 중국 유학생의 직업의식 특성에 따른 효율적 진로상담 방안에 관한 연구
- 중국 지역경제발전 격차의 추세, 수렴과 역U자 가설 검증
- 한⋅일 원/엔 실질 환율과 주가와의 관계 분석
- 한․중 서비스 무역의 수출경쟁력 비교분석
- 벤처기업의 해외진출동기가 국제화준비활동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한국 해외건설의 성장과 발전
- 의료서비스 실패와 회복 후 만족이 신뢰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An Analysis on Japanese Recession Between 1993 and 2002
- 한국 벤처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이슬람기업의 자본조달비용에 관한 연구
- 원화환율의 변화가 국내 서비스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
- 파키스탄의 외국인직접투자 관련법에 관한 고찰
- An Empirical Study on the Consumption Risk Sharing across the EU Regions
- 한국 소비자들의 수입명품에 대한 제품선호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