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패널중력모형을 통한 한국 자동차산업의 교역패턴과 자유무역협정의 영향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Empirical Analysis on Trade Pattern of Korean Motor Industry and Effect of Free Trade Agreement through Panel Gravity Model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김석민(Seog-Min, Kim) 전의천(Jun,Eui-Cheon)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4권 제2호, 251~27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패널중력모형을 이용하여 한국 자동차산업의 무역패턴을 분석해 보고, 지역경제권 가입이 한국의 무역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이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한국의 자동차산업 교역은 상대국의 소득수준에 의거한 교역패턴(Per Capita Pattern)보다는 전반적 시장규모에 의거한 교역패턴(GDP Pattern)을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자유무역협정 체결이 한국 자동차산업 교역규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동차전체산업의 경우에는 교역이 약 179%, 자동차부품산업의 경우에는 교역이 약 198% 증가되는 무역창출효과가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한국 자동차산업의 단기적 교역증대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시장규모가 크고 지리적으로 근접한 국가와 교역하는 것이 더욱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한국 자동차산업의 국제경쟁력 향상을 통한 교역확대를 위해서는 자동차의 소형화․지능화․친환경화로 대변되는 자동차산업의 환경변화에 철저히 대비하고, 핵심기술 보유를 위한 정부와 민간기업의 선제적인 공략과 적극적인 투자가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one through Panel Gravity Model to analyze the trade pattern of Korean motor industry and empirical analysis was also performed on the effect of regional economies joining to the Korean trade is to draw out some implications. Compared with per capita pattern regarding the income levels of both the countr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rade of Korean motor industry followed GDP pattern in accordance with the overall market. The results of effect on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to Korean motor industry reflected 179% and 198% increase in motor trade industry and motor parts trade, respectively. To expand the trade of Korean motor industry at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level, focus should be made on smaller, smarter and greener car with lesser impact on the environment. Hence, the present investigation suggested that government should not delay in retaining the core technology as well as private sector should also aggressively invest in the market.
목차
Ⅰ. 서론
Ⅱ. 자동차산업의 현황과 전망
Ⅲ. 연구설계와 분석자료의 수집
Ⅳ. 모형의 검정과 자료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Forecasting Long-Memory Volatility of the Australian Futures Market
- 한·중·일 연구개발투자의 효율성 및 생산성변화 비교 분석
- 로짓분석을 통한 국내 중소기업의 한-인도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에 대한 인식 연구
- 중국 상업은행 소비자의 만족도/충성도에 관한 연구
- 중국의 대(對) 아프리카 경제정책 변화
- 패널중력모형을 통한 한국 자동차산업의 교역패턴과 자유무역협정의 영향 분석
- An Empirical Study on the Economic Value to Eulsukdo based on SB-DC CVM
- 태국 사례와의 비교를 통한 한국의 성매매와 성병관리 정책
- 기업의 생산입지선정에 관한 비교연구
- 중국소비자의 적대감과 자민족중심주의가 한국산 제품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글로벌마케팅의 표준화-현지화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한중일 3개국의 화폐통합과 기축통화 설정에 관한 연구
- 한국기업의 배당과 투자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의 영향력 연구
- 기술개발·네트워크 역량과 경영성과간 관계에서 국제마케팅 활동의 매개적 역할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