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중일 3개국의 화폐통합과 기축통화 설정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Monetary Unification in North East Asian Economies and Setting an Anchor Currency by CNY and JPY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이현재(Rhee, Hyun-Jae)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4권 제2호, 61~7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북미경제권, 유럽경제권과 함께 세계 3대 경제권을 형성하고 있는 동북아시아 경제권의 한국, 중국, 및 일본의 화폐통합이나 화폐통합이 이루어졌을 때의 기축통화 선정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시도이다. 분석방법으로는 원화(KRW)가 뉴메레르(numeraire)인 Walras 모형을 구축하고 2SLS 모형과 GARCH-M 모형으로 일반균형의 균형가격을 산정하였다. 위안화나 엔화가 동북아시아의 기축통화가 되기 위해서는 추정계수가 1(unity)에 접근해야 하지만 산정결과에 의하면 위안화나 엔화 모두 1(unity)로부터 크게 벗어나 기축통화로 사용하는데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최근 급부상하는 중국경제를 바탕으로 세계금융시장의 기축통화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는 위안화나 동북아시아 금융시장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엔화를 통한 동북아사아의 화폐통합 가능성은 크지 않기 때문에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환율, 이자율, 물가, 및 국가재정 등의 전제조건이 충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축통화(anchor currency)라는 관점에서는 아시아통화단위(Asia currency unit)에 의한 화폐통합이 보다 현실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aper is basically attempted to reveal a possibility of monetary unification and setting an anchor currency in North East Asian economies such as South Korea, China, and Japan. The Cobb-Douglas utility function is tentatively built by a Walrasian economic framework. Korean Won(KRW) is represented for a numeraire in a structural model, and the estimation of a parameter is performed by 2SLS and GARCH-M models. Empirical evidence is found that not only monetary unification itself in this regime seems not to be practicable, but also setting an anchor currency by Chinese Yuan(CNY) or Japanese Yen(JPY) is also inappropriated due to the fact that the estimated parameter is not converged to a unity. Walrasian equilibria are enhanced by the convergence to a unity in the model. It also has to be mentioned that a number of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should be fulfilled prior to discuss a monetary unification in North East Asian economies. Instead, Asia currency unit(ACU) is more feasible in reality.
목차
Ⅰ. 서론
Ⅱ. 기존의 연구
Ⅲ. 이론적 배경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Forecasting Long-Memory Volatility of the Australian Futures Market
- 한·중·일 연구개발투자의 효율성 및 생산성변화 비교 분석
- 로짓분석을 통한 국내 중소기업의 한-인도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에 대한 인식 연구
- 중국 상업은행 소비자의 만족도/충성도에 관한 연구
- 중국의 대(對) 아프리카 경제정책 변화
- 패널중력모형을 통한 한국 자동차산업의 교역패턴과 자유무역협정의 영향 분석
- An Empirical Study on the Economic Value to Eulsukdo based on SB-DC CVM
- 태국 사례와의 비교를 통한 한국의 성매매와 성병관리 정책
- 기업의 생산입지선정에 관한 비교연구
- 중국소비자의 적대감과 자민족중심주의가 한국산 제품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글로벌마케팅의 표준화-현지화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한중일 3개국의 화폐통합과 기축통화 설정에 관한 연구
- 한국기업의 배당과 투자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의 영향력 연구
- 기술개발·네트워크 역량과 경영성과간 관계에서 국제마케팅 활동의 매개적 역할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