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중·일 연구개발투자의 효율성 및 생산성변화 비교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R&D Efficiency and Productivity in Korea, Japan and China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조윤기(Cho, Yun-ki)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14권 제2호, 43~6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비모수적 추정방법인 DEA와 맴퀴스트지수를 통해 한․중․일 3국의 연구개발투자의 효율성과 생산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기간 동안 한국과 일본의 효율성지수는 0.837과 0.834로서 OECD 평균 0.809를 상회하는 효율성을 보인 반면 중국의 경우는 0.420으로 가장 낮은 효율성을 보이고 있다. 둘째, 맴퀴스트지수에 의한 연구개발투자의 생산성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일본과 중국은 각각 1.9%와 0.9%의 생산성감소를 보인 반면 한국의 경우 연평균 25%의 생산성증가를 시현하고 있다. 셋째, 생산성 변화를 기술의 변화와 효율성의 변화로 분해한 결과 분석기간 동안 연평균 1.9%의 생산성하락을 나타낸 일본의 경우는 기술진보 1.006, 기술효율성변화 0.975로서 생산성 감소는 기술효율성 하락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한편 연평균 0.9%의 생산성하락을 보인 중국의 경우는 기술진보와 기술효율성변화가 각각 0.966과 1.026으로 나타나 기술진보보다는 기술효율성이 생산성을 견인하는 전형적인 기술추격형 개도국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반면 한국의 경우는 효율성의 증가가 18.2% 기술진보가 5.9%로 나타나고 있어 선진국 따라잡기형 효율성증가가 생산성증가를 견인하고 기술진보가 이를 뒷받침하는 선진국형과 개도국형의 중간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measures R&D efficiency and productivity changes of 24 nations including Korea, Japan and China by the non-parametric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The principl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D efficiency scores of Korea and Japan are 0.837 and 0.834 respectively. Meanwhile China shows 0.420, the worst performance among the selected countries. Second, Korea marked annual productivity increase of 25%, highest among the selected countries', for 2000-2005. R&D productivity in Japan and China, however, decreased 1.9% and 0.9% respectively. Third, annual rates of technology change and technical efficiency change in Japan are 0.6% and -2.5%. Therefore decrease of productivity in Japan is mainly due to technical inefficiency. In case of China, improvement of technical efficiency is the main contributor to productivity growth but technical progress has edged downward in the sample period. In Korea, with annual rate of technology change and technical efficiency change being 5.2% and 18.2% respectively, both efficiency improvement and technical progress has pulled the R&D productivity growth.

목차

Ⅰ. 서론
Ⅱ. 분석방법
Ⅲ. 자료 및 변수
Ⅳ. 한·중·일 R&D투자의 효율성 및 생산성변화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윤기(Cho, Yun-ki) . (2010).한·중·일 연구개발투자의 효율성 및 생산성변화 비교 분석. 국제지역연구, 14 (2), 43-60

MLA

조윤기(Cho, Yun-ki) . "한·중·일 연구개발투자의 효율성 및 생산성변화 비교 분석." 국제지역연구, 14.2(2010): 43-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