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제무역과 소득분배에 대한 교육의 역할

이용수  0

영문명
A Effective Role of Education on International Trade and Income Distribution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유일선(Yoo, Il-Sun)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14권 제3호, 411~43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 국가가 요소부존으로 인구(N), 자본(K)과 토지(Z)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1단계로 교육은 인구와 자본을 결합하여 신지식과 신기술을 체화한 ‘교육노동’(educated labor)을 ‘생산’하고, 2단계로 ‘교육노동’과 '비교육노동'(uneducated labor)을 결합하여 제조업을 생산하고 ‘비교육노동’과 토지를 결합하여 농산물을 생산하는 무역모형을 제시한다. 이 모형에 의하면 일단 무역이 시작되면 국가의 특성에서 자본증가율이 높을수록, 토지사용률이 낮을수록, 할인율상승률이 낮을수록 제조품이 수출되고 농산품이 수입되는 무역패턴이 강화된다는 것이다. 또한 자본증가율, 인구증가율, 토지사용률과 할인율의 차이가 있는 국가간 무역이 발생하면 이 무역모형은 양국의 교육노동증가율 격차는 확대되고 교육노동 상대임금 상승률은 토지사용률의 차이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그 격차가 축소되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두 노동자간 소득비율변화에 대해서 무역은 명목소득 비율보다는 실질소득 비율에 더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지역에 교육부문과 제조업이, 농촌지역에 농업이 존재한다고 한다면 농촌지역에서 도시지역으로 인구이동현상을 교육노동자가 되기 위한 것과 제조업과 농업의 한계생산물 차이로 설명할 수 있는 모형으로 확대적용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s two-step trade model introduced. It is assumed that countries have 3 basic factors- capital(K), land (Z)and population(N)-as national factor endowments. As the first step, education 'produces' 'educated labor(EL)' which embodies new knowledge or new technology by using the population and capital as inputs. As the second step, manufacturing goods is produced with EL and uneducated labor(UL), and agriculture goods with land and UL. According to this model, the higher the increase rate of capital in a country is, the lower the usage rate of land is, the lower the increase rate of discount is, the country tends to export the manufacturing goods and import the agriculture goods. Trade widens the discrepancy of increase rate of EL in both countries but reduces the gap of increase rate of relative wage of EL as far as the gap of usage rate is not so big. Trade also affect real income rather than nominal income. This model can be extended to explain the migration from rural areas to urban areas when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education organization exist in urban area while the agricultural sector exist in rural area.

목차

Ⅰ. 서론
Ⅱ. 문헌연구
Ⅲ. 무역모형 설정
Ⅳ. 무역모형으로 확대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일선(Yoo, Il-Sun) . (2010).국제무역과 소득분배에 대한 교육의 역할. 국제지역연구, 14 (3), 411-432

MLA

유일선(Yoo, Il-Sun) . "국제무역과 소득분배에 대한 교육의 역할." 국제지역연구, 14.3(2010): 411-4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