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일본의 대 아시아지역 직접투자 특성의 비교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ODI by Korean and Japanese Firms into Asian Continent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김성기(Seong-Ki Kim) 채두병(Chae, Doo-Byoung) 강한균(HanGyoun Kang)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4권 제3호, 243~26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시아지역에서의 한국과 일본의 대 아시아지역 직접투자의 특성을 거시적 측면과 미시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거시적 측면에서는 시장지향적 특성과 생산효율지향적 특성이 강한지를 다중회귀분석으로, 미시적 특성으로는 투자유형(합작·단독)과 투자규모, 노동집약도, 임금, 본사 파견 노동자 비율 등의 관계를 로지스틱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체로 한국은 시장지향적 및 생산효율지향적 특성에서 2000년 이후 대체로 시장지향적 특성으로 전환되었고 일본은 생산효율지향적 특성에서 2000년 이후 대체로 시장지향적 및 생산효율지향적 특성으로 전환되었다. 한편 투자유형면에서는 한국과 일본 모두 GDP가 증가할수록, 파견노동자의 비율이 높을수록 단독투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투자규모가 클수록 현지임금이 높을수록 합작투자를, 일본은 자본집약도가 높을수록 단독투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Overseas Direct Investment(ODI) in Asia. An empirical test consists of two parts, the determinants of ODI and the micro characteristics of subsidiaries in Asia between Korea and Japan. Multiple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 are used in empirical tests as methodology. The coefficient of GDP is significant and positive sign to sole venture in both countries. The coefficient of CPA in Korea is significant and positive sign to joint venture but insignificant in Japan. The coefficient of WAGE in Korea is significant and positive sign to joint venture but is significant and negative sign to joint venture in Japan. The coefficient of LBIT is significant and positive sign to joint venture in Japan. The coefficient of HOME is significant and positive sign to sole venture in both countries.
목차
Ⅰ. 서론
Ⅱ. 한국․일본의 대 아시아지역 직접투자
Ⅲ. 한국․일본의 대 아시아지역 직접투자 특성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n Empirical Study on the management Strategies of Korean Firms corresponding with the Political Environment in local Brazil: Focusing on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동아시아 국가의 경제성장 수렴에 대한 실증분석
- 국제무역과 소득분배에 대한 교육의 역할
- 한국수출중소기업의 학습역량과 역동적 역량이 해외시장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국제 인바운드 관광과 중국내 서비스 산업 GDP간의 인과관계 및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 글로벌 외환시장의 환율 결정구조 분석에 관한 실증연구
-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among the Stock Markets of China, Taiwan and Hongkong
- An Empirical Analysis of Market Power in The Dallas-Forth Worth Milk Market
- 동태CGE모형을 이용한 한·일FTA와 한·중FTA의 경제적 효과 비교분석
- The Asymmetric Relationship between Output Volatility and Growth: Evidence from the U.K. Industrial Production
- 재정분권화가 중국 경제성장에 미친 영향 분석
- 한국의 아프리카 무상원조의 효과분석
- 한국·일본의 대 아시아지역 직접투자 특성의 비교분석
- 중국내 다국적기업 R&D랩의 진출동기에 따른 유형선택에 관한 연구
- 한중간 지속가능발전의 타당성에 관한 실증분석
- Price and Volatility Spillovers in MENA Stock Markets
- 한국기업의 피인수기업에 대한 통제수준이 국제 인수합병 성과에 미치는 영향
- An Empirical Study of the Tradability caused by the Service Characteristics in Korea: Focusing on hard and soft service
- 매출액영업이익률, 매출액성장률, 부채비율 및 기업규모를 고려하여 살펴본 광고선전활동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 주택가격과 물가의 장기관련성에 관한 실증연구
- 러시아의 정치 엘리트 충원 방식과 연방제 구조의 성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