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valuation of aid effectiveness using the input-output analysis: the case of Vietnam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박복영(Park Bokyeong) 안지연(Jiyoun An)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22권 제2호, 211~23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가 단위에서의 원조효과 평가는 대부분 정성평가에 머물고 있지만, 원조 프로젝트의 동질성이 강하면 정량평가를 시도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정량평가에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론의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성장이론에 기반한 패널분석, 산업연관분석, 사회계정행렬분석, CGE모형, DSGE모형, 시계열분석. 그리고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사업의 동질성이 높은한국 유상원조의 대베트남 지원의 효과를 추정하였다. 합리적 추정을 위해 적절한 투입산출표의 선택, 현재가치화를 통한 시점 일치, 최종수요 발생의 산업별 구성, 구속성 원조 특성등의 문제를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1995〜2016년에 승인된 EDCF의 대베트남 지원은 베트남에서 약 59억 달러의 생산과 약 17억 달러의 부가가치를 창출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지원에 따른 베트남 1인당 소득 증가는 베트남의 빈곤율을 0.21%p 낮추는 데 기여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영문 초록
The evaluation of aid effectiveness at the national level has mostly focused on qualitative evaluation. This paper attempts to quantitatively evaluate EDCF 's support for Vietnam in 1995 ~ 2016 on the economy. First, we compar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various methodologies that can be used for quantitative assessment: panel analysis based on growth theory, input-output analysis, social account matrix analysis, CGE model, DSGE model, and time series analysis. Using the input-output analysis, we estimate that total output and value added have been generated about $5.9 billion and $1.7 billion in Vietnam, respectively. The increase in income per capita from the support was estimated to have contributed to a 0.21%p reduction in the poverty rate in Vietnam.
목차
Ⅰ. 서론
Ⅱ. 국가 단위 원조효과의 정량평가 방법론 검토
Ⅲ. 유상원조를 통한 한국의 대베트남 지원 현황
Ⅳ. 산업연관분석을 위한 고려사항
Ⅴ.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지원효과 추정 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영리 공연단체의 경영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GMM, 패널, PPML 비교분석을 통한 FTA와 FTA파급효과 분석
-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GCC Countries’ Exports: A Gravity Approach
- 중국 호텔 직원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북한 경제체제전환을 위한 제도적 조건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국제 연구동향 분석
- 조합주의 현상의 중국적 변용 고찰
-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원조의 국가단위 효과 평가
- 채권자 손실분담제도(Bail-in 제도)가 중소기업대출에 미치는 영향
- 동북아시아지역 신용보증기관의 효율성 분석과 정책적 함의: 일본, 대만, 한국신용보증기관의 비교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문화예술 부문의 재정지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 OTT 서비스 이용자의 추가구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PPM 모델을 중심으로
- 기혼 여성 팬덤활동의 제약요인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