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Bail-in System on SME’s Loans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김성우(Sung Woo Kim) 이기환(Ki Hwan Lee)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22권 제2호, 41~5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08년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도난 은행의 구조조정방법으로 은행의 주주와 무담보 은행채권자에 의하여 자금이 지원되고 손실을 부담하는 Bail-in 제도 도입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기 시작하였고, 2016년 1월 1일부터는 모든 유럽은행에서 새로운 구조조정시스템인Bail-in 제도가 시행되기에 이르렀다. 우리나라 금융당국도 Bail-out 제도를 보완하는 Bail-in 제도의 도입을 추진하려고 검토 중인 상황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Bail-in 제도가 도입될경우 은행의 총대출과 중소기업대출의 경기순응성에 대한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패널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Bail-out 제도와 Bail-in 제도에서 모두 은행의 총대출은경기순응성을 보여주지 않았는데, 이는 우리나라 은행의 총대출 변동성과 관련해서는 Bail-in 제도 도입으로 우려했던 경기순응성에 대한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수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대출의 경기순응성의 경우에는 Bail-out 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기순응성을 보여주는 반면에, Bail-in 제도에서는 해당 제도 도입에 따라 우려되었던 경기순응성은 존재하지 않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국내 중소기업의 안정적인 지원을 위해서는 Bail-in 제도의 도입이 효과적인 정책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After global financial crisis, policy makers in major countries tried to find a new bank recovery and resolution policy. The new policy intends to normalize the market not by bail-out approach in which public funds should be provided bankrupt banks, but by market discipline approach in which unsecured creditors take part in liquidation process. Bail-in system is a new and dominant financial policy after crisis period in resolution regimes led by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bail-in system and pro-cyclicality. Empirical analysis has been done by taking the basis of the 8 year data from 2008 to 2015, which is selected from financial statistics information system of Korea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ccounting and financial data are collected from the dataguide 5.0 between 2008 and 2015. Through the analysis, the effect of bail-out system and bail-in system on pro-cyclicality of total loans did not show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However the effect of bail-out system on pro-cyclicality of SME loan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meanwhile the effect of bail-in system on pro-cyclicality of SME loans did not show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In conclusion, bail-in system can be useful policy which improves the support and promotion of SM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사례연구
Ⅲ. 연구모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영리 공연단체의 경영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GMM, 패널, PPML 비교분석을 통한 FTA와 FTA파급효과 분석
-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GCC Countries’ Exports: A Gravity Approach
- 중국 호텔 직원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북한 경제체제전환을 위한 제도적 조건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국제 연구동향 분석
- 조합주의 현상의 중국적 변용 고찰
-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원조의 국가단위 효과 평가
- 채권자 손실분담제도(Bail-in 제도)가 중소기업대출에 미치는 영향
- 동북아시아지역 신용보증기관의 효율성 분석과 정책적 함의: 일본, 대만, 한국신용보증기관의 비교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문화예술 부문의 재정지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 OTT 서비스 이용자의 추가구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PPM 모델을 중심으로
- 기혼 여성 팬덤활동의 제약요인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