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GCC Countries’ Exports: A Gravity Approach
이용수 0
- 영문명
- 중력모형을 이용한 걸프협력회의(GCC) 국가들의 무역 결정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Abdullah A. Bouhamdi 고종환(Jong-Hwan Ko)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22권 제2호, 19~4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걸프협력회의(GCC) 6개국 수출의 결정요인이무엇인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GCC 회원국인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카타르, 연합아랍에머리트 및 오만의 55개 주요 무역국과의 수출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출국의 GDP와 수입국의 GDP의곱이 카타르를 제외한 GCC 5개국의 수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거리는 아랍에메리에트(UAE), 사우디아라이바 및 오만에 부정적인 영향을준 것으로 분석된 반면에, 바레인과 카타르의 수출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출국의 1인당 GDP는 바레인, UAE와 오만의 수출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사우디아라비아의 수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출국의 인구는 GCC 6개국 모든 나라의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분석되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수입국의 인구는 쿠웨이트, 바레인과 카타르의 수출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사우디아라비아의 수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경은 GCC 회원국 중 어느 나라의 수출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동언어의 경우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및 오만의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유무역협정(FTA)는 바레인의 수출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카타르와 오만의 수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GCC회원국자격은 쿠웨이트, 바레인 및 카타르의 수출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사우디아라비아의수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quantify the determinants of the Gulf Cooperation Council (GCC) countries’ exports by using an augmented gravity model. The gravity model was applied to the six members of the GCC (Kuwait, Saudi Arabia, Bahrain, Qatar, the United Arab Emirates and Oman) with datasets that consist of their major 55 trading partners. The findings of this paper reveal that the product of the exporter’s GDP and its trading partner’s GDP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exports of five GCC members, except for Qatar. Distance had a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the exports of the UAE, Saudi Arabia and Oman, while i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ose of Bahrain and Qatar. The exporter’s GDP per capita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exports of Bahrain, the UAE and Oman, while a negative effect on Saudi Arabia’s exports. The exporter’s popula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exports of all six GCC members, while the importer’s popula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exports of Kuwait, Bahrain and Qatar, yet,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Saudi Arabia’s exports. Borders had an insignificant effect on the exports of the six members. The common language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the exports of Kuwait, Saudi Arabia, Bahrain and Oman. FTA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exports of Bahrain an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Qatar’s and Oman’s exports. The membership of the GCC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exports of Kuwait, Bahrain and Qatar, while it had a negative effect on Saudi Arabia’s export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ology and Data
Ⅳ. Empirical Findings
Ⅴ.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영리 공연단체의 경영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GMM, 패널, PPML 비교분석을 통한 FTA와 FTA파급효과 분석
-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GCC Countries’ Exports: A Gravity Approach
- 중국 호텔 직원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북한 경제체제전환을 위한 제도적 조건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국제 연구동향 분석
- 조합주의 현상의 중국적 변용 고찰
-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원조의 국가단위 효과 평가
- 채권자 손실분담제도(Bail-in 제도)가 중소기업대출에 미치는 영향
- 동북아시아지역 신용보증기관의 효율성 분석과 정책적 함의: 일본, 대만, 한국신용보증기관의 비교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문화예술 부문의 재정지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 OTT 서비스 이용자의 추가구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PPM 모델을 중심으로
- 기혼 여성 팬덤활동의 제약요인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