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러시아의 ‘중대 국면’과 푸틴 체제의 대응
이용수 0
- 영문명
- The 'Critical Juncture' of Russia and The Response of The Putin Regime: The Backgrounds and Meanings of 2020 Russian Constitutional Amendments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이준용(Jun Yong Lee) 제성훈(Sung Hoon Jeh)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25권 제4호, 163~18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20년 러시아에서 이루어진 헌법개정의 배경과 의미를 분석하는 데 있다. 헌법개정의 배경이 된 것은 4기 푸틴 정부가 출범한 2018년을 전후로 대두된 세 가지 문제와 이에 대한 대응이었다. 먼저, 헌법상 임기 제한으로 인해 가시화된 권력 승계 문제를 해결해야만 했다. 다음으로, 대중의 사회경제적 불만에 대응하여 국가의 사회적 의무를 부각할 필요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서방과의 갈등이 장기화하면서 러시아 고유의 정체성을 공고히 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루어진 개정사항의 주요 내용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푸틴 체제’의 연속성을 담보하는 헌법적 기반을 마련했다. 둘째, ‘사회적 국가’의 면모를 부각했다. 셋째, 러시아 고유의 정체성을 강화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ackgrounds and meanings of amendments to Russian constitution in 2020. Three problems that became apparent around 2018, when Putin has started his fourth presidential term, and responses to them were the backgrounds of constitutional amendments. First, Due to the constitutional limitation on presidential term, there was the necessity to solve the problem of succession of power. Next, in response to the socioeconomic discontents of the public, the need to emphasize the state's social obligations had increased. Finally, owing to the prolonged confrontation with the West, the need to strengthen Russia’s unique national identity had emerged. In consequence,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key amendm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foundation for the continuity of the ‘Putin regime’ has been ensured. Second, emphasis on the aspects of ‘social state’ has been made. Third, Russia's unique identity has become more clea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헌법개정의 배경
Ⅳ. 주요 개정사항과 의미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ilemma of Roh Tae-woo’s Nordpolitik and Its Implications for ROK Northern Diplomacy
- 일본에 대한 소비자 적대감이 품질 평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Key Audit Matters on the Usefulness of the Financial Statements in China
- OECD 20개국 재산세의 성장억제효과 분석
- 러시아의 ‘중대 국면’과 푸틴 체제의 대응
- 팬데믹 위기에서 쿠바의 개혁개방 정책과 변화
- 중국 기관투자자들의 특성에 따른 투자활동 모니터링 효과가 피투자기업의 투자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 유럽의 소득불평등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