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스마트시티 진출잠재력 분석 및 진출전략 고찰
이용수 171
- 영문명
- Analysis of Chinese Smart City Entry Potential and Consideration of Entry Strategy: Focusing on Analysis of Institutional Entry Environment an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 발행기관
- 한국동북아경제학회
- 저자명
- 이현주(Hyunju Lee)
- 간행물 정보
- 『동북아경제연구』東北亞經濟硏究 第34卷 第1號, 87~11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국 스마트시티 시장의 현황을 살펴보고 기업FGI와 한중 기술경쟁력평가를 통해 중국 스마트시티 진출잠재력을 평가하고 우리나라의 진출전략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외국기업의 진출에 대해서는 정부 정책적으로 스마트기기, 인공지능, 5G통신기술, 사물인터넷, 블록체인기술 등 스마트시티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핵심기술 분야를 투자장려 분야로 분류하는 한편, 까다로운 인증제도를 통해 외국기업의 진입을 규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한중 스마트시티 기술경쟁력 분석에서 스마트 디바이스, ICT 융합부분, 사물인터넷과 같은 기술을 제외하면 한국이 중국에 우위를 선점하고 있다고 보기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우리나라 기업에 있어서 중국의 스마트시티 시장은 로컬기업과의 합작 및 시장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한 투자전략이 요구되는 시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시장판단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정부차원에서 “(가칭)스마트시티 한중 온라인 기업협력 플랫폼 구축”을 통한 기업매칭과 협력지원을, 기업차원에서는 3선 이하 도시의 스마트시티 개발수요에 기반한 기술적용에 대한 사업기회 모색을, 그리고 한중 정부간 교차 시범사업을 통한 정책교류와 이를 통한 양국 기업의 사업기회 확대를 위한 전략적 고려사항으로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Chinese smart city market, evaluate the potential to enter China's smart city through corporate FGI and Korea-China technology competitiveness evaluation, and present implications for Korea's entry strategy. As for the entry of foreign compan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government policy classifies key technology fields directly related to smart cities such as smart devices, artificial intelligence, 5G communication technology, IoT, and blockchain technology as investment incentiv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Korea is dominating China except for technologies such as smart devices, ICT convergence, and the Internet of Things in Korea-China smart city technology competitiveness analysis. Based on this market judgment, this study proposed corporate matching and cooperation support through "(tentative) Smart City Korea-China online corporate cooperation platform", at the corporate level, seeking business opportunities based on demand for smart city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중국 스마트시티 추진현황과 전망
Ⅲ. 중국 스마트시티 진출잠재력 분석
Ⅳ. 중국 스마트시티 진출전략에 대한 함의
V.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