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주운전 재범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운전자 요인 분석
이용수 308
- 영문명
- Investigating Drivers’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the Likelihood of Driving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DUIA) Recurrence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7 No.7, 139~15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재범자의 운전자 관련 특성을 기반으로 음주운전 재발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음주운전 재발이 발생할 때까지의 기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생존모델이, 음주운전 재발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Cox 비례위험 모델이 사용되었다. 분석을 위해 도로교통공단 의정부지청에서 음주운전으로 기소된 운전자 320명을 대상으로음주운전 특별교통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경찰청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음주운전 관련 자료와 결합했다. 생존 분석 결과, 첫 번째 위반에서 두 번째 위반까지의 소요되는중위수 기간은 약 347.8주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음주운전 재발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으로 연령, 성별, 직업, 교육 및 혈중 알코올 농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로부터 알수 있듯이 운전자 인적요인별로 차별화된 교육과 관리를 위한 대책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likelihood of Driving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DUIA) recurrence based on the drivers’ related characteristics of recidivists. A survival model was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ime period taken until the DUIA recurrence occurs, and a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employed to investigate which factors are more likely to affect the likelihood of DUIA recurrence. For the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320 drivers who had been prosecuted as DUIA and to complete the DUIA special traffic safety education program at the Uijeongbu branch of Road Traffic Authority, and then combined with DUIA-related data stored at the National Police Agency database system. The results of survival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edian period from the first offence to the second one was about 347.8 weeks, and that age, gender, occupation, education, and Blood Alcohol Concentration (BAC) were significantly found as risk factors affecting the likelihood of DUIA recurrence. From the analytical results, it seems to establish a countermeasure for differentiated education and management for each driver factor.
목차
Ⅰ. 서론
Ⅱ. 기존 문헌 고찰
Ⅲ. 분석 방법론 정립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항만 배후지역의 대기오염 실태로 본 항만환경 관리정책의 새로운 방향성
- 가족해체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재구성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개인주의-집단주의, 사회지향성-자율지향성, 회복탄력성이 COVID-19 팬데믹에서의 소외감과 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북한 핵 위협에 대한 군사적 대응의 ISA 특성 연구
- 국립공원 내 산사태 발생지역의 특성에 의한 효율적인 관리방안 마련 연구
- 부모의 방임이 학업중단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감염병 위기에 대한 위험인식과 대응
- 인공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하천 수위예측에 관한 연구
- Crisisonomy Vol.17 No.7 목차
- 음주운전 재범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운전자 요인 분석
- 공동체 리질리언스 및 개인 리질리언스가 코로나19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