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동체 리질리언스 및 개인 리질리언스가 코로나19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9
-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Community Resilience and Individual Resilience on COVID-19 Prevention Behavior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7 No.7, 35~5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도) 시민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공동체 리질리언스및 개인 리질리언스 요인들이 어떻게 코로나19 예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위계적 회귀분석 [모형 1]에서는 인구통계학적 변수 중 여성, 40대와50대, 그리고 월평균 가구소득이 500만원 이상인 시민이 코로나19 예방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모형 2]에서는 공동체 리질리언스 요인을 투입하였으며, 그 결과는 위기상황에의 대처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리더십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지역 내 사회적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 [모형 3]에서는 개인 리질리언스 요인을추가로 투입하였다. 통제력, 공감능력 및 감사하기는 정(+)적인 영향을, 삶의 만족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관계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종합적으로, 코로나19 예방행동에서 통제력은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uch factors as demography, community resilience and individual resilience of peoples living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Province affect the COVID-19 preven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model 1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omen, adults in their 40s and 50s, and citizens with the average monthly family income of more than 5 million won were appeared to enhance COVID-19 prevention behavior. Second, factors of community resilience were put into model 2. Coping with the crisis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s on COVID-19 prevention behavior, but leadership has a negative impact, and social relationship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factors of individual resilience were put into model 3. The control ability, empathy and gratitude were appear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COVID-19 prevention behavior, but satisfaction of life has a negative impact, and relational abili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llectively, it was confirmed that control 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prevention behavior of COVID-19.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항만 배후지역의 대기오염 실태로 본 항만환경 관리정책의 새로운 방향성
- 가족해체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재구성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개인주의-집단주의, 사회지향성-자율지향성, 회복탄력성이 COVID-19 팬데믹에서의 소외감과 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북한 핵 위협에 대한 군사적 대응의 ISA 특성 연구
- 국립공원 내 산사태 발생지역의 특성에 의한 효율적인 관리방안 마련 연구
- 부모의 방임이 학업중단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감염병 위기에 대한 위험인식과 대응
- 인공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하천 수위예측에 관한 연구
- Crisisonomy Vol.17 No.7 목차
- 음주운전 재범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운전자 요인 분석
- 공동체 리질리언스 및 개인 리질리언스가 코로나19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