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하천 수위예측에 관한 연구
이용수 39
- 영문명
- Study on Water Level Prediction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7 No.7, 71~8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하도추적, 구체적으로는 상류단의 복수의 수위관측을 이용하여 하류단의 수위를 예측하기 위하여 인공신경망 모델을 구성하였다. 대상하도는 금강유역의 용담댐과 대청댐 사이의 본류이며, 상류단 입력자료로서 본류에 있는 수통, 호탄 관측소 관측수위와 지류인 송천 관측소 관측수위를 고려하였다. 출력 값으로는 하류단의 옥천 관측소 수위를 3시간 및 6시간의 선행시간으로 예측하도록 인공신경망 모형을 구성하였다. 인공신경망 모형의 구성은 단일 히든레이어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Epoch number, Mini-batch size, Learning rate의 3가지 학습변수의 예측정확도에 대한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인공신경망의 학습(Training), 시험(testing), 검증(validation)을 위해 2000년부터2012년까지 13년간의 시수위자료를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하였으며, 2013년부터 2014년의 2년간의수위자료를 이용한 시험을 통해 최적의 모형을 선정하였다. 또한 선정된 최적의 모형을 이용하여2015년부터 2016년까지의 수위예측을 수행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was constructed in order to predict the water level. The target stream is the main stream between Yongdam Dam and Daecheong Dam in the Geum river Basin, and as input data at the upstream, the observation water level at the Sutong and the Hotan observatory and the water level at the Songcheon observatory, which is a tributary, are considered as input data. As an output value,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was constructed to predict the water level of the Okcheon station at the downstream with 3 hours and 6 hours lead time.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was constructed around a single hidden layer, and the sensitivity to the prediction accuracy of three learning variables was analyzed: Epoch number, Batch size, and Learning rate. For training, testing, and valid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learning was conducted using observed water level data for 13 years from 2000 to 2012, and water level data for two years from 2013 to 2014. The optimal model was selected through the used test. In addition, water level prediction from 2015 to 2016 was performed using the selected optimal mode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범위 및 방법
Ⅲ. 적용 결과
Ⅳ. 결론 및 고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항만 배후지역의 대기오염 실태로 본 항만환경 관리정책의 새로운 방향성
- 가족해체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재구성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개인주의-집단주의, 사회지향성-자율지향성, 회복탄력성이 COVID-19 팬데믹에서의 소외감과 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북한 핵 위협에 대한 군사적 대응의 ISA 특성 연구
- 국립공원 내 산사태 발생지역의 특성에 의한 효율적인 관리방안 마련 연구
- 부모의 방임이 학업중단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감염병 위기에 대한 위험인식과 대응
- 인공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하천 수위예측에 관한 연구
- Crisisonomy Vol.17 No.7 목차
- 음주운전 재범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운전자 요인 분석
- 공동체 리질리언스 및 개인 리질리언스가 코로나19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