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 감염병 위기에 대한 위험인식과 대응
이용수 82
- 영문명
- Risk Perception and Response to the COVID-19 Infectious Disease Crisi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7 No.7,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위험인식하에서의 경제위험, 생활방식, 심리상태와 위험예방행동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있다. 분석 결과, COVID-19에 관한 위험인식은 경제위험, 생활방식, 심리상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감염병 위기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염병 예방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감염병 특성별 맞춤형 교육자료의 개발 및 보급, 학교와 교육청의 감염병 관리역량을 제고해야 한다. 둘째, 감염병 질환에서 개인 심리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심리적 개입과 지원 등의 대처방안이 중요하다. 셋째, COVID-19로 인한 경제위험은 정부차원의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COVID-19 확산의 장기성, 높은 치사율과 피해의 정도 등을 고려하면, 재난지원금이나 재난기본소득만으로는 해결되기 어려우므로 조세제도, 재난지원금, 재난기본소득제도 등을 연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risk, lifestyle, psychological state, and risk prevention behavior under COVID-19 risk percep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risk perception regarding COVID-19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 risk, lifestyle, and psychological stat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nfectious disease crisi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onduct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educational materials for each characteristic of infectious disease, and to enhance the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capabilities of schools and offices of education. Second, in order to protect individual psychological health from infectious diseases, it is important to take measures such as psychological intervention and support. Third, the economic risk caused by COVID-19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an institution at the government level. Considering the long-term spread of COVID-19, the high fatality rate and the degree of damage,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with disaster subsidies or disaster basic income alone, so it is necessary to link the tax system, disaster subsidy, and disaster basic income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항만 배후지역의 대기오염 실태로 본 항만환경 관리정책의 새로운 방향성
- 가족해체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재구성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개인주의-집단주의, 사회지향성-자율지향성, 회복탄력성이 COVID-19 팬데믹에서의 소외감과 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북한 핵 위협에 대한 군사적 대응의 ISA 특성 연구
- 국립공원 내 산사태 발생지역의 특성에 의한 효율적인 관리방안 마련 연구
- 부모의 방임이 학업중단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감염병 위기에 대한 위험인식과 대응
- 인공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하천 수위예측에 관한 연구
- Crisisonomy Vol.17 No.7 목차
- 음주운전 재범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운전자 요인 분석
- 공동체 리질리언스 및 개인 리질리언스가 코로나19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