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대 생태위기 상황의 트랜스로그와 생태영성학
이용수 113
- 영문명
- Translogue and Study of Eco-Spirituality in Era of the Earth Crisis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 저자명
- 김용해(Kim, Yong Hae)
- 간행물 정보
- 『신학과철학』신학과철학 제40호, 39~6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의 지구위기를 지구 시스템 과학은 지구가 죽어가기보다는 잠에서 깨어나 “화를 내고”, “격노하며” “복수심에 찬” 반격을 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통해 설명한다. 지구에서 인류가 사라질 수도 있는 기후열화, 종 다양성의 파괴와 멸종위기 등 미증유의 지구균열 현상을 바라보며 인간은 자신의 정체성과 지구생명공동체에 대한 사명이 무엇인지 숙고하고 즉시 행동하지 않을 수 없다. 인간 종을 우주와 지구가 오랜 진화를 통해 탄생시킨 존재라는 사실을 우리가 인정한다면 그리고 이런 위기의 원인이 인간에게 있다면, 인간은 지구생명체에 대한 도덕적, 법적 책임을 지지 않을 수 없다. 이 논문에서 나는 지구가 바야흐로 ‘인류세’라는 위기의 시대를 겪고 있음을 전제하고 인간중심주의를 탈피하면서도 인간의 책임성을 강조하는 해밀턴의 지구시스템 과학과 신인간중심주의를 살피고 그 한계를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다음으로 해밀턴은 지구와 인간, 두 개의 힘을 이원론적으로 본 것과 대조적으로 양자를 일원론적으로 파악하려는 토마스 베리의 모델을 살핀다. 그런 다음 본격적으로 나는 토마스 베리의 종교와 과학, 동양과 서양의 종교적 계시체험의 소통의 장으로서 생태영성학을 새로운 분과학문으로 정초하고자 시도한다. 여기서 나는 생태영성학은 학제 간 소통은 물론, 생물종 간과 생물과 무생물 간의 소통이라는 트랜스로그(Translogue)의 방법론을 제시하고 관계 중심적이고 개방적이며 재구성의 공론장의 기본 방향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Earth system scientists explain today s global ecological crisis through the fact that rather than dying, the Earth is waking up angry, enraged in a vengeful counterattack. Looking at the unprecedented discordances in the earth, such as climate warming, the loss of species diversity, and the threat of human extinction, human beings are forced to reflect on our identity and mission for the global life-community and act immediately. If the human species was born through the long evolution of the universe and humans are part of the cause of this earth crisis, then humans cannot but bear the moral responsibility for life on earth. In this thesis, I first examine Clive Hamilton s dualistic model of the earth-system science in terms of ‘neo-anthropocentrism,’ which stresses the need to break out of our common anthropocentric mentality in what is an ‘Anthropocene’ crisis. In contrast, I next examine Thomas Berry s model, which understands the two forces of earth and human beings monistically. I then propose a new academic field of ‘eco-spirituality’ as a forum for dialogue between religion (Eastern and Western) and the sciences. I present a ‘translogue’ methodology, by which human beings go beyond our common ways of communication and interact with other species on a deeper level. I set up principles for the study of eco-spirituality in open, inter-relational, reconstructive discourse.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인류세’라는 지구 위기
3. 토마스 베리의 생태학적 비전
4. 트랜스로그(translogue)와 생태영성학
5.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내재화 문제 행동을 보이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PCIT-ED 사례 연구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