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Depression Experience by Occupational Classification Amo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A Comparison Between Before and After COVID-19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이주미(Lee, Jumi) 송인한(Song, In-han)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26권 제1호, 139~15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preventing and intervening with depression among you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in the context of the ongoing COVID-19 pandemic.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 and depressive mood amo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Utiliz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f th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effects of economic activity status on depressive mood were analyzed wit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women in their 20s and 30s (2018, N=916; 2020, N=835). The results show that the unemployed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depression, and it was found that the impact became more severe when comparing the data of 2018 and 2020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Furthermore, after the pandemic, women in the service and sales work experienced more severe depressive moods than in other occupations, while the unemployment status was significant with the 2018 data before the pandemic.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policy and intervention implications for women in their 20s and 30s after the COVID-19 crisi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동육아나눔터의 공간구성 및 운영 개선방안
- 정신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이 어머니 불안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초등학생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시간지원행동 유형별 지원동기와 표준설정, 만족도
- 영양사의 연령대별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와 지식 및 영양지수
- 성인 여성 토르소 패턴 비교
- 20, 30대 여성의 직종별 우울경험의 차이
- 양파외피와 커피슬러지 폐기물을 활용하여 염색한 나일론 직물의 색채특성과 염색견뢰도
- 남성 슈트의 색상과 색조에 따른 컬러 코디네이션 연구
- 유아 잠재적 창의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고밀도 투습발수직물과 PU코팅 투습발수직물의 반복 세탁에 따른 물리적 성질의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스마트홈 기술과 가족 돌봄에 관한 연구 동향
- 중년 부부의 관계 변형을 위한 정서 조율 과정 : 뇌신경과학 치료단계에 따른 사례 분석
- 신경과학 기반 가족놀이치료를 경험한 가족의 뇌파(EEG) 변화 : 인공지능 언어모델(chat-GPT) 분석을 활용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