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성 슈트의 색상과 색조에 따른 컬러 코디네이션 연구
이용수 24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lor Coordination of Men’s Suits According to Color and Tone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임지영(Lim, Ji Young) 권순기(Kwon, Soon Ki)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26권 제1호, 101~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en’s suits have the same color and fabric as their tops and bottoms and have simple designs without much decorative details; hence the color representation method made of suit and inner wear is essential for coordinating men’s suits. Thus,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methodology for the representation of sophisticated images by analyzing the color coordination of men’s suits shown in collections. A total of 425 photos of men’s suits in black, gray, navy, and brown colors showcased in 12 collections from the 2016 Fall Season to 2021 Spring Season published at www.vogue.international were analyzed. The 425 men’s suits included 128 black suits, 132 gray suits, 85 navy suits, and 80 brown suits, while there were 37 cases of styling only with suits without inner wear.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regarding the hue coordination, both black and gray suits showed the most color combination with achromatic colors such as white, gray, or black. In the tone coordination, the black suits showed the most contrasting tone combination with huge differences in value such as white, while the gray suits showed the most similar tone combination with similar value. In the hue coordination, both navy and brown suits showed multiple color combinations with achromatic and monochrome colors. In the tone coordination, they showed numerous contrasting tone arrangements with huge differences in value and similar tone combinations with similar brightness. Overall, the color combination with achromatic color was showcased the most regardless of the suit color. Hence, the color coordination method for men’s suits could be systematically establish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여성 토르소 패턴 비교
- 20, 30대 여성의 직종별 우울경험의 차이
- 남성 슈트의 색상과 색조에 따른 컬러 코디네이션 연구
- 고밀도 투습발수직물과 PU코팅 투습발수직물의 반복 세탁에 따른 물리적 성질의 변화
- 유아 잠재적 창의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공동육아나눔터의 공간구성 및 운영 개선방안
- 정신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이 어머니 불안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영양사의 연령대별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와 지식 및 영양지수
- 양파외피와 커피슬러지 폐기물을 활용하여 염색한 나일론 직물의 색채특성과 염색견뢰도
- 초등학생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시간지원행동 유형별 지원동기와 표준설정, 만족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