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콜센터 상담사의 감정노동과 직장 내 괴롭힘이 우울과 주관적 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28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workplace bullying, de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mployees in call centers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저자명
- 공선영(Kong Sunyoung) 최권호(Choi Kwonho) 한인임(Han Inim) 신하나(Shin Hana) 김유경(Kim Yu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72권, 5~3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여성집중 수준이 높은 콜센터 상담사들은 안전하지 않은 노동환경에서 심각한 수준의 감정노동과 직장 내 괴롭힘을 겪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8년 산업안전보건법의 개정을 통해 콜센터 상담사를 포함한 고객응대 노동자의 감정노동으로 인한 피해보호조치의 근거가 마련되었고, 2019년 근로기준법 개정을 통해 직장 내 괴롭힘 피해에 대한 보호조치 의무가 사업주에게 부과되었다. 그동안 콜센터 상담사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인적자원 관리 관점에 기초하고 있거나, 감정노동 실태와 현상을 파악하기 위한 것에 초점을 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콜센터 상담사들의 감정노동과 직장 내 괴롭힘이 우울과 주관적 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정책 및 제도적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0년 8월 노동조합과 직장갑질119를 통해 자발적 조사참여자 총 501명을 대상으로 웹 기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콜센터 상담사들의 감정노동 수준은 높았고, 직장 내 괴롭힘 피해율은 22.8%였다. 감정노동과 직장 내 괴롭힘은 다양한 인구사회적 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유의하게 우울과 주관적 건강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콜센터 상담사의 감정노동과 직장 내 괴롭힘 예방 및 해결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Employees working in call centers with a high level of female concentration are facing severe emotional labor and workplace bullying in an unsafe environment. In Korea, through the revision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in 2018, the measures to protect employees including employees in call centers from emotional labor are prepared. Also, through the revision of the Labor Standards Act in 2019, employers are obligated to take protective measures against workplace bullying. Previous researches on call center employees tended to be focused on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perspective or descriptive status of emotional labor. In order to address the research ga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workplace bullying of call center employees on de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to discuss the implications. We conducted a web-based survey of a total of 501 voluntary study participants through the corporation of call center trade unions and an advocacy organization (Jikjang Gabjil 119). As results,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of participants was high, and the victimization rate of workplace bullying was 22.8%. Also, emotional labor and workplace bullying are significantly affected de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while controlling for demographic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of call center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콜센터 상담사의 감정노동과 직장 내 괴롭힘이 우울과 주관적 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72권 목차
- Loneliness, suicidal ideation, and resilien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자살예방 실무자의 외상후 성장 유형과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 이후 장애인의 정보통신 서비스 이용 변화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 Qualitative study on the changes in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5권 목차
- The impact of multimorbidity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