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 이후 장애인의 정보통신 서비스 이용 변화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545
- 영문명
- A study on the categorization and determinants of changes in the use of IT services by people with disabilities after COVID-19: Focusing on social capital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저자명
- 임예직(Lim Yegick) 문영민(Mun Yeongmin) 이정하(Lee Jeongha)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72권, 115~14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언택트 상호작용이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 장애인의 정보통신 서비스 활용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정보통신 서비스 활용 변화 패턴이 어떠한 유형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2020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에서 총 2,200명의 장애인 표본을 활용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하여 변화 패턴을 유형화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변화 패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특히 사회적 자본이 주요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통신 서비스 이용 변화 유형은 평균형, 감소형, 증가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유형별로 인구사회학적 요인, 장애 요인, 노동시장 요인, 역량 요인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자본이 감소형과 증가형이 될 확률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디지털정보화 역량 역시 감소형과 증가형이 될 확률에 영향을 주고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정보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 정보통신 서비스에 접근하기 어려운 장애인을 위한 접근성 확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the use of IT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changing at a time when untact interactions are spreading to COVID-19. To this purpose, 2,200 samples with disabilities were used in the 2020 Digital Divide survey. Change patterns were categorized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and influencing factors were identifi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particular, it was intended to verify whether social capital had a major eff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change in IT service usage were average, decreasing, and increasing. Second, demographic factors, disability factor, labor market factor, and competency factor were different for each type. Third, social capital had an effect on the probability of becoming a decreasing type and an increasing type. Fourth, digital informatization capabilities also influenced the probability of becoming two typ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social network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expanded and information capabilities should be strengthened, and that accessibi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accessing IT services should be expand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콜센터 상담사의 감정노동과 직장 내 괴롭힘이 우울과 주관적 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72권 목차
- Loneliness, suicidal ideation, and resilien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자살예방 실무자의 외상후 성장 유형과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 이후 장애인의 정보통신 서비스 이용 변화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 Qualitative study on the changes in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5권 목차
- The impact of multimorbidity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