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s between Symptoms and Signs of Dry Eye Using Symptom Assessment in Dry Eye Questionnaire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하람(Haram Kim) 오관엽(Guanyeop Oh) 김동현(Dong Hyun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3,number3, 228~235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안구건조증 환자의 SANDE 증상 점수 양상을 탐색하고, 안구건조증 검사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했다.
대상과 방법: 안구건조증 환자 173명을 후향적 분석했다. 환자의 SANDE 점수, 자가면역질환 및 안수술 병력을 조사하고, 쉬르머검사, 눈물막파괴시간, 안구표면염색점수, 눈물 오스몰농도, 눈물 MMP-9 검사를 시행했다. 이를 토대로 SANDE 점수 분포와 안구건조증소견들에 따른 SANDE 점수 분포 변화 및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특히 눈물막파괴시간(<5/≥5), 안구표면염색점수(<3/≥3)로 구분해 비교했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SANDE 점수는 52.6 ± 28.1점이었다. 안구표면염색점수가 3점 이상 군에서 3점 미만 군보다 SANDE 점수가 높았고(79.1 ± 21.6/51.1 ± 27.6, p=0.030), 눈물막파괴시간이 5초 이상 군에서 5초 미만 군보다 SANDE 점수가 낮았다(47.2 ± 25.6/55.6 ± 29.0, p=0.050). 또한 눈물막파괴시간은 SANDE 점수와 음의 상관관계, 안구표면염색점수는 SANDE 점수와 양의 상관경향을 보였다(R=-0.151/0.111, p=0.024/0.073). 안구표면염색점수가 0, 1, 2, 3인 세부군으로 구분했을 때, 점수 증가에 따라 SANDE 점수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 for trend=0.008). 타 안구건조증 소견들은 SANDE 점수와 관련성이 없었다.
결론: SANDE 설문을 통한 안구건조증 증상 점수는 눈물막파괴시간 및 안구표면염색점수와 관련성을 보였으나, 증상 및 소견 간 불일치가 뚜렷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Symptom Assessment in Dry Eye (SANDE) questionnaire symptom scores in dry eye disease (DED) patients and to assess the relationships with several dry eye sign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73 patients with DED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Each patient’s SANDE score and history of autoimmune disease and ocular surgery were investigated, and Schirmer’s test, tear film breakup time (TBUT), ocular surface staining score (OSS), tear osmolarity, and tear MMP-9 test were assessed. The distribution of SANDE scores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SANDE score and various dry eye signs were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ANDE scores of TBUT (< 5 / ≥ 5) and OSS (< 3 / ≥ 3) subgroups were compared.
Results: The average SANDE score was 52.6 ± 28.1. The SAND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SS ≥ 3 than in OSS < 3 (79.1 ± 21.6 vs. 51.1 ± 27.6, p = 0.030), and TBUT ≥ 5 had marginally significantly lower SANDE scores than TBUT < 5 (47.2 ± 25.6 vs. 55.6 ± 29.0, p = 0.050). TBUT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R = -0.151, p = 0.024) correlated with the SANDE score, while OSS was marginally significantly positively (R = 0.111, p = 0.073) correlated. As OSS increased, the SANDE scores tended to increase (p for trend = 0.008). Other dry eye signs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SANDE score.
Conclusions: The DED symptom score from the SANDE questionnaire was related to TBUT and OSS, but there was still a discrepancy between the symptoms and signs of DED.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신경으로 전이된 원발유방암 환자 증례 보고
- 야그레이저를 이용한 홍채낭종 절개술의 임상 효과
- 프로스타글란딘의 Benzalkonium Chloride 보존제가 각막지각에 미치는 영향
- 기증각막 관련 미생물학적 검사 결과 분석
- 아래눈꺼풀의 원발점액샘암종
- 녹내장 아메드밸브 수술안에서 전체층각막이식과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의 비교
- OPA1 유전자의 c.1334G>A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 우성시신경위축 환자
- 백내장 수술 후 치료콘택트렌즈와 안약 치료를 적용한 임상 결과
- 샤임플러그사진기를 이용한 덧눈꺼풀 교정술 전·후 각막난시 비교
- 머리 부분 탑재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입체시검사법
- 급성폐쇄각녹내장과 수정체유발 폐쇄각녹내장에서 자세 변화에 따른 중심전방깊이 변화량 비교
- Symptom Assessment in Dry Eye 설문을 통한 증상 점수와 안구건조증 검사들 사이의 관계 분석
- 원추각막이 있는 눈에서 미니공막콘택트렌즈 착용의 임상 결과
- 가성황반원공, 황반원공의 아형에 따른 혈관밀도의 술 후 변화
- 반복적인 유리체출혈로 발현한 추정 잠복결핵 관련 중간포도막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